<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최근 북러관계의 변화: 현황, 동인, 전망 및 한국의 대응

North Korea–Russia Relations: The State, Backdrops, Prospects, and ROK’s Responses

상세내역
저자 장덕준
소속 및 직함 국민대학교
발행기관 러시아연구소
학술지 러시아연구
권호사항 24(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1-303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러관계   #푸틴   #김정은   #남북러 3각협력   #한러관계   #장덕준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러관계가 최근 들어 상당히 우호적인 관계로 발전했다.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서방과 대립각을 세우게 된 러시아는 북한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과 협력관계를 더욱 발전시키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한편으로 북한은 외교적으로 고립된 가운데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됨에 따라 러시아와의 협력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지난 수년간 북한과 러시아는 교역확대, 비자간소화, 교역에 있어서 루블화 결제 등에 관한 협정을 맺었다. 북러관계의 진전은 여러 요인에 의해 촉발되었다. 무엇보다도 러시아가 신동방정책의 일환으로 한반도와 동북아에서 자국의 존재감을 유지하려고 하는 모스크바와 국제적 고립을 탈피하고 외교적 활동공간을 넓히려고 하는 평양의 의도가 합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경제적으로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원조를 기대하고 있으며 러시아는 북한의 협조를 얻어 한국을 포함하는 3각협력을 추진하려고 한다. 이러한 북러간 밀월관계는 한국에게 도전과 기회를 동시에 던지고 있다. 한편으로 북러관계의 긴밀화는 대한민국이 추진하고 있는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에 좋은 기회가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북러간의 밀착은 북핵문제의 해결을 복잡하게 만듦으로써 한반도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증대시킬 수도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