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북한이탈청소년이 한국 정착 과정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관계를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에 1년 이상 거주 중인 북한이탈청소년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심층면접 자료는 Giorgi의 4단계에 따라 분석되었다. 심층면접의 분석 결과에 따라, 4개의 구성요소와 24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경험은 크게 ‘탈북의 배경과 탈북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진입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적응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 ‘한국사회 정착 과정에서의 사회적 관계’와 같이 나뉜다. 한국에 있는 북한이탈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경험에 대해 밝힘으로써, 본 연구는 현재 한국에서 생활하고 있는 북한이탈청소년을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앞으로 한국에 입국하게 될 북한이탈청소년을 돕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