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에 대한 인식은 문화적, 역사적, 지리적 차이에 의해 다른 기준을 갖는다. 하지만 오늘날 교통과 인터넷 발달은 문화와 역사, 지리의 차이를 빠른 속도로 감소시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다양한 분야에서 고유한 특성보다는 동질성이 더욱 크게 작용함을 의미한다. 문화상품인 캐릭터에서도 이러한 현상은 그대로 나타나게 되어, 표준화된 캐릭터의 형태가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의 중심축인 캐릭터에 대해 문화적, 지역적 선호도를 감성어휘와 함께 분석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캐릭터의 얼굴은 표준적으로 선호하는 형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캐릭터의 얼굴 형태는 서양인의 얼굴인 1:1.36 비례를 선호하지만, 동양인의 얼굴에서 나타나는 작은 턱과 부드러운 형태를 선호한다. 눈의 형태가 동양인은 위아래 폭이 좁고 쌍꺼풀이 거의 없는 데에 반해, 서양인은 눈이 둥글고 크고 쌍꺼풀이 매우 진하다. 캐릭터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잘 조합되어 나타난 눈을 선호한다. 즉 좌우로 폭은 넓은 형태를 선호하지만, 너무 둥근 형태는 덜 선호한다. 쌍꺼풀은 서양인처럼 너무 진한 형태보다는 동양인에게 나타나는 눈 안쪽이 붙고 바깥쪽이 벌어지는 형태를 더 선호한다. 코는 전반적으로 작게 표현하여 귀여운 형이 되는 것을 선호한다. 이처럼 오늘날 캐릭터는 동서양이 잘 조화되는 형태를 선호한다. 감성 어휘와 캐릭터 부분요소의 선호도는 밀접한 관련이 있는데, 청순한, 우아한, 현대적인, 예쁜의 긍정요소는 캐릭터를 선호하는데 주된 요인으로 나타난다. 반면 밋밋한, 못생긴, 거북한, 천박한 등은 캐릭터의 부정적 요소를 결정하는데 주된 역할을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캐릭터의 선호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청순하고 우아한 느낌, 예쁘고 귀여우면서 현대적인 세련됨이 있는 방향으로 디자인하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애니메이션과 게임을 제작을 할 때 마케팅 관점에서 각 지역의 문화적 특징을 더욱 세밀히 연구하여 표준적으로 선호하는 캐릭터를 제작하여야 할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