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의 위생방역제도 구축과 ‘인민’의식의 형성(1945∼1950)

The Construction of Epidemic Prevention-Hygiene Systems and the Development of “the People’s Consciousness” in North Korea (1945~1950)

상세내역
저자 김진혁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사연구회
학술지 한국사연구
권호사항 (167)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47-287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전염병   #콜레라   #귀환   #위생방역제도   #보건위생   #방역위원회   #‘인민’의식   #위생선전   #북소관계   #김진혁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해방 후 한반도 전역에서는 많은 전염병이 폭발적으로 확산되었다. 그 중 1946년 콜레라의 창궐은 방역위기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재해였고 북한당국은 이에 대해 최초의 대규모 방역사업을 전개했다. 소련은 콜레라방역활동뿐만 아니라 이후에도 보건위생행정 전반을 지원했다. 이 같은 후원 속에 북한은 방역위원회체계를 상설화하고, 위생방역체계를 중앙단위에서 지역 기층단위까지 유기적으로 조직해나갔다. 아울러 북한당국은 식민지 보건행정에 대한 재편과 전통적 위생관 개혁을 통해, 대중이 위생방역사업에 동참하도록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 당국은 식민유제의 정리, 보건위생행정의 독립과 행정계통의 이원화, 공안행정의 일제잔재척결운동 등으로 식민행정과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로서의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했다. 또한 위생선전활동을 통해 미신퇴치운동을 전개하고 ‘근대적’ 위생관을 교육했다. 이를 통해 지도부는 대중이 자신의 위생을 책임질 수 있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방역활동과 국가건설의 주체로 위치 지우고자 했다. 이는 우호적 소련관을 통한 사회주의 지향의 ‘인민’ 의식 창출과정이기도 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