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으로의 외래문화 유입 현황과 실태-제3국에서의 북한주민 면접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Foreign Culture into North Korea and Changes to the North Korean Society:-With an Interview Survey with North Koreans in a Third Country

상세내역
저자 강동완
소속 및 직함 동아대학교
발행기관 인문학연구원
학술지 통일인문학
권호사항 60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7-20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한류   #외래문화   #북한사회   #김정은 시대   #외부정보   #강동완
조회수 14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김정일 사망이후 북한에 대한 관심은 김정은의 권력승계 안정화와 이에 따른 북한체제 변화 여부였다. 김정은 집권 3년차를 지나면서 북한체제 전망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다. 북한주민들의 체제결속력 및 충성도 등 의식변화는 북한체제 변화를 전망하는 중요한 변수라 할 수 있다. 북한체제의 외부정보의 엄격한 통제와 단속을 통한 폐쇄성에 기인한다면 북한으로의 외부정보 유입은 북한사회 변화의 주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시작된다. 본 연구는 김정은 시대 북한주민 면접을 통해 최근 북한으로의 외래문화 유입 실태와 현황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북한주민’은 남한으로의 입국이나 중국 등 제3국으로의 이주를 목적으로 탈북 한 것이 아니라 식량구입 및 장사를 목적으로 국경을 반복적으로 넘나드는 사람들과, 공식적으로 중국의 친지 방문을 위해 비자를 받고 중국에 체류하고 있는 사람들을 의미한다. 북한 주민들의 아래로부터의 변화 요구와 북한당국의 위로부터의 강압이 상호 충돌하면서 발생하는 현상이 북한체제의 향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전망하기 위해 우선 북한 사회의 현 실태에 대해 분석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