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에 대한 국가적⋅사회적 노력에 비해 우리 국민의 통일 열망은 크게 높아지지 못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의 통일의식은 저조하다. 이 연구는 향후 통일의 주력세대가 될 젊은 세대의 통일공감대를 고양하는 방안을모색하기 위해 통일에 대한 젊은 세대의 인식을 Q 방법론을 통해 분석해 보았다. 연구 결과, 젊은 세대의 통일에 대한 4개의 의미있는 인식 유형을 파악하였다. 유형1은 ‘합리적 준비론’으로 대변되며, 통일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국민의 통일공감대 형성과 같은 선행되어야 할 합리적 준비가 있다는 인식이다. 유형2는 ‘적극적 확장론’으로서, 대한민국의 선진국 도약을 위해 대한민국 주도의 통일을 지지하는 적극적이고 확장적인 인식을 의미한다. 유형3은 북한이 핵무기를 폐기하지 않는 한 북한과 통일문제를 논의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는 입장으로서,통일의 조건에 대한 젊은 세대의 보수적 인식을 나타낸다. 유형4는 ‘기능주의적 좌파론’으로서, 남북 사이에 전쟁을 없애기 위해 통일이 필요하다고 보며, 큰 부담이 없다는 전제하에 통일을 지지하는 입장으로서 통일에 대한 기능주의적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 유형4의 통일인식은 또한 대북 삐라 살포, 종북세력 제거, 통일논의의 전제로서 북한의 핵무기 포기, 대한민국 주도 통일 등에 대해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어 좌파적 시각에 부합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