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이루어지지 못한 귀환: 소련의 귀환 정책과 사할린한인

A Thwarted Repatriation:The Steps of the Soviet Union for Detained Koreans in Sakhalin

상세내역
저자 방일권
소속 및 직함 한국외국어대학교
발행기관 동북아역사재단
학술지 동북아역사논총
권호사항 (46)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7-31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사할린 한인   #소련의 귀환정책   #연합국총사령부   #노동력 활용   #방일권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종전 후 일본인 송환은 1946년 12월 〈소련점령지구 송환에 관한 미소간 협정(미소간협정)〉 체결 이후 소련각료회의에서 실무지침이 마련되었으나 1949년 7월에야 비로소 완료되었다. 그 이유는 적국민 송환을 통한 체제유지와 안보 확립을 위해 조속한 민간인 송환을 주장한 사할린 점령군과 생산시설 유지 및 노동력 확보 차원에서 송환을 저지하고자 한 사할린 민정국의 갈등, 그리고 양자의 대립 속에서 모호한 입장을 취한 소련 중앙정부의 태도 때문이었다. 한편 한인 귀환에 대한 검토는 탈출에 성공한 한인에 관한 해외 언론보도, 일본 규슈에 전환배치된 한인들의 진정 결과 연합국총사령부(GHQ/SCAP)가 사할린한인 규모와 귀환희망 여부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며 시작되었다. 1947년부터 이 문제가 공론화되자 골리코프를 중심으로 한 점령군은 1948년 외무장관 몰로토프를 설득해 한인들을 북한으로 모두 보내고자 구체적인 실무계획안을 확정했다. 반면에 1948년 크류코프를 중심으로 한 사할린 민정국에서는 외무차관 말맄을 통해 생산활동의 파국 방지를 명분으로 한인의 송환을 일본인 송환 뒤로 미룰 것을 주장하였다. 점령군의 ‘북한송환론’과 민정국의 ‘송환연기론’이 팽팽히 맞선 가운데 1950년 한국전쟁 발발하자 이 문제는 그대로 모호하게 방치되어 한인의 귀환은 기나긴 정체기를 맞이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