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한반도 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남북고위급 접촉 등 대화와 한반도 비핵화와 한반도 및 동북아 평화체제를 위한 6자회담 등 대화의 노력이 언젠가는 결실을 맺을 것이라는 긍정적 시각으로 연구한 연구물이다. 그리고 무력통일․흡수통일은 배제하고, 평화통일에 입각해서 남북한이 공존공영하는 가운데 통일을 달성해야 남북이 서로 윈-윈 할 수 있다는 전제를 깔고 연구한 논문이다. 즉, 국가위에 국가를 건설하자는 연방제 통일을 가정한 연구이다. 확정적 연방통일이 아닌, 점진적 단계적 통일을 의미하는 단계적 연방통일이다. 편의상 제1단계 연합형 연방제, 제2단계 연방제,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로 구분하고 있다. 일단 연합형 연방국가를 건설하는데 있어 “연방수도 입지선정 및 건설이라는 연구”는 중요한 핵심사항이라 판단한다. 그래서 수도입지 선정요인을 정치적 합리성, 경제적 합리성, 국토균형발전 합리성, 안보적 합리성, 풍수지리적 합리성, 역사적 합리성 등으로 수도입지의 판단기준으로 삼았다. 더불어 수도형태를 일극집중형, 다극분산형, 절충형으로 구분하고 수도건설형태로 신도시형, 신시가지형으로 분류하였다. 외국사례로 독일, 베트남, 예멘, 브라질,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유럽연합의 수도입지선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치적 합리성 둘째, 국토균형 합리성, 셋째 역사적 합리성을 선정요인으로 삼았음을 알았다. 수도형태 및 수도건설형태는 각 나라에 따라 달랐다. 통일연방수도 후보지로 서울, 평양, 서울-개성벨트, 개성, 파주교하, 철원, 강화군 양사면과 황해북도 개풍군 또는 강화군 교동면(교동도)과 황해남도 연안군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그래서 분석한 결과 철원 및 강화군과 북한 개풍군, 진안군을 제외한 지역은 남한에 의한 북한을 무력통일, 흡수통일을 달성한 경우 또는 북한에 의한 남한을 무력통일, 흡수통일을 이룩한 경우가 아니면 제일 중요한 정치적 합리성을 확보할 수 없어 통일연방국가의 수도로 부적합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수도형태로 일극집중형 보다 다극분산형으로 건설하는 것이 정치적 합리성과 국토균형발전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결론적으로 제1단계 연합형 연방국가 수도를 강화군에 행정부, 황해북도 개풍군 또는 황해남도 연안군에 입법부, 철원에 사법부와 3군사관학교 등을 유치하면 정치적 합리성, 국토균형발전 합리성, 역사적 합리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수도형태를 다극분산형, 수도건설 형태는 신도시형으로 건설하자고 주장했다. 더불어 수도건설 주체는 남북한 정부와 연방국가가 공동으로 수도건설위원회를 조직하여 건설하자고 제안했다. 예산확보는 유럽연합(EU)처럼 관세, 부가가치세, 1인당 국민총소득액(GNI)의 일정한 비율에 의한 남북한 부담금, 국채 등으로 건설비용을 확보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판단했다. 또한 통합의 정도가 높아지는 제2단계 연방제,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에서는 안보적 합리성을 높혀야 할 단계이므로 다극분산형을 유지하되, 철원에 안보와 관련된 기관과 시설을 더 유치하는 것이 합리적이라 주장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