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新羅統一의 現代史的 意義

Contemporary Views on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by Silla

상세내역
저자 신형식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신라사학회
학술지 신라사학보
권호사항 (3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3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삼국통일   #한강   #유역   #백제 멸망   #고구려 멸망   #황룡사   #남북통일   #신형식
조회수 3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국사는 분열과 통일의 연속이며, 현재 제3차 분열의 상태이다. 분열기에는 국력과 문화가 쇠퇴하였으나, 통일기는 민족과 문화가 발전하였다. 신라의 삼국통일은 오랜 기간 준비와 국력의 강화로 이루어졌다. 제1단계(한강유역 차지, 553). 제2단계(백제 정벌, 660), 제3단계(고구려 정벌, 668), 제4단계(중국 당나라 군대 축출, 676)의 150여년 과정으로 거친 후 민족의 융합으로 이룩되었다. 특히 중국 당과의 외교에서 능동적 이용과 주체적 입장은 오늘날 큰 교훈이 된다. 황룡사 조성(553)으로부터 시작된 민족문화의 개발은 9층탑(643)과 월지(안압지) 건설(674)이 있었고, 불국사 건립(751)으로 이룩되면서 문화의 뒷받침으로 매듭짓게 되었다고 말하겠다. 우리는 남북통일을 기다리면서, 한강유역이 지닌 중요성과, 국가 발전의 토대 위에서 미국・일본・중국・러시아 간의 갈등 속에서 능동적 외교라는 주체적 자각을 잊어서는 안 된다. 보다 유연한 남북의 교류와 정치적 안정을 바탕으로 통일의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