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사회화의 과정이 전혀 다른 청년세대와 장년세대의 이념에 대한 인식과 갈등양상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본 연구는 청년세대와 장년세대의 이념갈등의 차이를 밝힘으로써 우리사회 이념갈등의 실체에 한 걸음 더 다가가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세 가지 가정에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로 서로 다른 사회화 과정을 거친 두 세대에 있어 진보와 보수의 이념성향을 결정하는 변인은 다를 것이라고 가정한다. 둘째로 청년세대와 장년세대의진보-보수 간의 차이 혹은 갈등의 폭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 가정한다. 셋째로 청년세대와장년세대는 진보와 보수에 대해 다른 표상(representation)을 갖고 있을 것이라고 가정한다. 대북정책이 장년세대의 이념성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이었던 반면, 청년세대에게대북정책은 이념형성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분배와 성장 이슈가 중요한 변인이었다. 청년세대는 장년세대에 비해 진보와 보수집단 간의 정책태도의 차이가 적게 나타나 이념갈등의 정도가 심각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념 표상에 있어서도 청년세대는 장년세대에 비해 상대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훨씬 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