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의 강제동원사 연구 현황과 진척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이상의 언급을 요약하지 않고, 강제동원사 연구의 현재적 의미와 미래 가치에 대해 밝히는 것으로 맺음말에 대신하겠다. 그것이 강제동원사 연구가 가야갈 길이기 때문이다. 머리말에서도 밝혔듯이, 필자가 이 글을 쓰게 된 동기는 한중일 3국 사이의 역사갈등 때문이었다. 특히 2013년 12월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야스쿠니신사를 참배한 일에 대해 중국이 한국과의 국제공동연구를 적극 추진하자, 한국 정부가 여기에 대응하여 취한 여러 액션 가운데 하나로 기획된 학술회의가 계기였다. 2014년 7월 서울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일본군‘위안부’문제에 대한 대응을 외교의 영역에서 취급하였다. 역사문제가 외교문제화한 단적인 표시이다. 그러나 강제동원의 실태를 밝히고, 상처를 치유하며, 미래에도 같은 잘못을 되풀이하지 않을 토대를 만들기 위해서는 우선 학문적, 문화적 접근이 필요하다. 한국은 중국 정부가 제안하여 시작한 침탈사연구에 관한 국제공동연구를 외교의 영역으로부터 학문의 영역으로 옮겨올 필요가 있다. 필자도 참여한 동남아시아 학자들과의 두 차례 국제회의 곧, 2014년 7월과 11월 동북아역사재단이 주최한 학술회의는 매우 적절한 대응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더구나 한국 자체만의 연구 인력이 적고, 관련 자료도 턱없이 부족한 현실을 고려할 때, 체계적인 접근만 할 수 있다면 이러한 국제회의는 매우 선택적인 노력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일본을 포함한 강제동원 연구의 국제협력과 한국 역사학계의 노력은 우리의 현재적 처지 및 미래지향과 밀접히 연관짖는 방향으로 이어져야 한다. 더구나 강제동원사 연구는 반성하지 않고 제2의 가해를 일삼고 있는 일본을 코너로 몰기 위해, 문제를 폭로하기 위한 움직임이 아니다. 일본의 변화도 동반할 수 있는 노력이어야 한다. 한반도는 여전히 냉전시대의 가치와 질서가 작동하는 세계 유일의 공간이다. 또한 민족과 지역을 갈라놓은 분단체제의 핵심 공간이다. 그 공간의 일부인 북한에 있는 강제동원지, 그리고 일본군 유적지에 대한 남북한 공동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져야 강제동원의 전체상이 그려질 수 있다. 강제동원사 연구가 분단극복의 과정과 접목되어 있는 이유 가운데 하나가 여기에 있다. 동시에 분단을 극복하려는 우리의 노력은 동아시아 지역의 안정을 추구할 수밖에 없다. 그렇지 않고는 주변의 4강으로부터 지원을 받을 수 없다. 현재 동아시아 지역에서 고착화하고 있는 미중 경쟁구도를 극복할 수도 없다. 또한 중일전쟁과 아시아태평양전쟁은 동남아시아의 구성원들과 공유할 수 있는 역사적 공동 경험으로써 소중히 다루어야 할 현재적 자산이다. 지역의 미래가치를 공유하려는 노력 곧, 동아시아 정체성을 만들어가기 위한 노력은 분단을 극복하는데 유리한 환경을 우리에게 제공할 것이다. 일본을 포함해 강제동원사에 관한 국제공동연구를 의식적으로 진행해야 할 또 다른 이유가 여기에 있다. 요컨대 국내외 연구자들이 강제동원사를 함께 연구하는 노력은 한반도의 분단을 극복하는 과정이며 동아시아 지역의 협력 틀을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이중적 의미가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