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

Creative Foundation of 『Baekdusan』 as Long Epic Poetry

상세내역
저자 김낙현
소속 및 직함 중앙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어문교육연구회
학술지 어문연구(語文硏究)
권호사항 42(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79-319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長篇敍事詩   #『白頭山』   #趙基天   #抗日革命   #『홍범도』   #소련문학   #김낙현
조회수 5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항일혁명문학의 전범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된 조기천의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백두산』창작토대에는 趙基天의 문학 활동, 항일혁명의 영웅적 활약상을 형상화했던 재소 고려인문단의 특수성, 소련문학의 영향 등이 작용하였다. 항일혁명의 전설적인 영웅을 형상화했던『홍범도』 는 실제『백두산』작품과 여러 면에서 매우 유사했다. 그리고 조기천이 소련에서 문학 활동을 전개하던 시절 유행하고 성행했던 서사시나 장편서사시, ‘뽀에마’ 등은 마야코프스키 시와 결합하여『백두산』이 창작된 토대로 작용하였다. 『백두산』의 창작토대에 마야코프스키의 시풍과 작시법이 작용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조기천은 마야코프스키 시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변용, 변주하여 민족적인 형식으로 재창조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