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2024년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 사례를 출발점으로 삼아, 북한 군사적 도발 양상의 변화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도발 양상을 예측하며, 한국의 전략적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군사적 도발 개념과 전략환경 변화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바탕으로 분석의 틀을 구축하였으며, 이어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정권기에 나타난 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정권의 정치적 목적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일관되게 활용되어 왔으며, 전략환경의 변화에 따라 도발 방식은 점차 간접적이고 비대칭적인 형태로 전환되어 왔다. 특히 김정은 정권에서는 도발이 저강도·비가시적 양상을 띠며, 한국의 명확한 군사적 대응을 곤란하게 만드는 특징을 보인다. 향후에도 북한은 고강도 재래식 도발보다는 간접적이고 심리전적인 수단을 활용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에 따라 한국은 도발을 완전히 억제하기 어려운 현실을 감안하여, 보다 유연하고 통합적인 대응 전략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