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을 분석하고,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배경과 준비과정, 러시아의 방어작전 준비과정을 살펴보고, 반격작전의 진행 경과를 각 전선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을 4가지로 분석하였다. 첫째, 동부 전선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병력을 분산하여 남부 전선에서 전투력 집중에 실패하였다. 둘째, 제한된 서방의 지원 속에 작전의 형태가 소모전으로 변화하면서, 지속지원의 한계가 있었다. 셋째, 반격 시기가 지연될수록 러시아군의 방어선은 강력해졌다. 우크라이나군이 반격작전을 준비하는 동안 러시아군은 6월까지 다층적 장애물과 UAV, 포병 등을 결합한 준비된 방어선을 구축하였다. 넷째, 러시아군의 방어선을 돌파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제병협동전투 능력이 부족하였다.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을 바탕으로 한국군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은 다수의 병력을 러시아로 파병하였고, 현대전과 러시아군의 전술을 학습할 것이다. 따라서 북한군은 러시아군의 준비된 방어선을 토대로 방어작전을 준비할 것이기 때문에 향후 변화될 북한의 방어작전을 분석하고, 대비해야 한다. 둘째, 출산율 저하 등으로 북한에 대비해 양적 우위를 달성할 수 없다면, 작전계획에서 전투력 집중과 분산을 고민하고 보완해야 한다. 셋째, 군사작전 지원을 위한 방위산업과 전시 산업 동원능력을 발전시켜야 한다. 넷째, 제병협동전투 능력과 합동작전 능력을 획기적으로 발전시키고, 연합 및 합동훈련을 지속해서 실시해야 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