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유엔 제재체제의 위기와 북한인권: 제도적 복원력의 조건

The Crisis of the UN Sanctions Regime and North Korean Human Rights: Conditions for Institutional Resilience

상세내역
저자 이신화
소속 및 직함 고려대학교
발행기관 법무부
학술지 통일과 법률
권호사항 (6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3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유엔 제재체제   #북한인권   #중견국 제도적 복원력   #규범-안보 연계성   #이신화
조회수 1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북한 인권 문제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대응과 유엔 제재 체제의 구조적 위기를 분석하고, 국제 규범 질서의 복원 가능성과 그 조건을 탐색한다. 2024년 4월 러시아의 거부권 행사로 유엔 안보리 산하 대북제재 전문가패널이 공식 해체된 사건은, 강대국의 지정학적 이해가 국제법적 메커니즘과 규범 질서를 무력화할 수 있음을 극명히 보여주었다. 이러한 현실은 북한 인권 문제가 단지 규범적 사안이 아닌, 핵·미사일 개발, 불법 금융, 해외 노동자 파견 및 국경 통제와 결합된 복합적 안보 문제로서 국제사회의 전략적 대응을 요구함을 시사한다. 1990년대 이후 유엔은 조약기구, 특별절차, 보편적 정례검토(UPR)를 통해 북한 인권 문제를 국제 의제로 제도화해 왔다. 그러나 법적 구속력의 부족, 유엔 안보리의 정치화, 북한의 협력 거부는 기존 메커니즘의 실효성을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국적 제재 모니터링팀(MSMT), 시리아 국제독립조사체(IIIM), 미얀마 독립조사기구(IIMM) 등 유엔 외부 혹은 보완적 대안 메커니즘이 등장하고 있으나, 이들 역시 법적 권한, 예산 지속성, 정치적 대표성 면에서 구조적 제약을 안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구조적 제약을 극복하고 제도적 복원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건으로 다음의 다섯 가지를 도출한다. 첫째, 물리적 접근이 불가능한 상황에서도 가능한 디지털 기반의 체계적 증거 수집과 보존 역량 확보, 둘째, 시민사회 및 탈북자 네트워크와의 연계 강화, 셋째, 유엔 외부 메커니즘과의 제도적 연계와 상호보완성 확보, 넷째, 정보 공유와 확산을 위한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 다섯째, 독립적이고 정치적 영향을 최소화한 국제조사기구 설립이다. 북한 인권 문제는 국제 규범 체계의 적응성과 회복 탄력성을 시험하는 대표적 사례이며, 동시에 인권과 안보가 교차하는 복합위기의 축적 지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한국은 규범 설계와 제도적 대안 구상에 있어 실질적 기여를 할 수 있는 전략적 위치에 있으며, 다층적 외교와 시민사회 연계를 통해 국제 규범 질서의 재구축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