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통신대학의 역사: 회귀의 반복과 이중적 통치성

Learning in Reverse: The Regressive Recurrence of North Korea’s Correspondence University and Its Dual Governmentality

상세내역
저자 박민주
소속 및 직함 통일교육원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학술지 동북아연구
권호사항 40(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53-182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통신대학   #이중적 통치성   #회귀   #현지학습반   #원격대학   #박민주
조회수 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푸코의 통치성 개념에 기반하여 북한 통신대학의 제도적 전개와 반복적 회귀의 의미를 해석하였다. 1948년 도입된 통신대학은 노동자에게 고등교육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명목 아래 운영되어 왔으나, 자율적 학습이라는 표면적 형식과 달리 반복적으로 ‘현지학습반’ 체제로 회귀하는 양태를 보인다. 기술-사회 적정성이 낮은 맥락에서 통신대학이 보이는 회귀는 제도 실패의 결과라기보다, 통치력 유지를 위한 전략적 조정으로 기능하는 측면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권위주의 체제인 중국과 비교했을 때 북한의 통신대학은 통치성의 이중구도가 매우 확연하게 드러났으며, 자율적 주체에 대한 논의는 매우 소략한 반면 노동자-학생 통제가 노골적으로 강조되는 양상이다. 이처럼 통신대학의 외피는 학습자 자율에 주목하는 근대 교육제도지만, 그 내피는 통치력 유지를 위한 기술로서 지난한 역사를 구성해왔다. 코로나 이후 등장한 2차 회귀 현상은, 향후 통신대학(원격대학)이 자율성보다 타율성을 강화하는 전통적 방식을 고수할 것임을 보여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