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 라선경제무역지대 형성 과정 연구: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ormation of Rason Economic Trade Zone in North Korea: Focusing on the Actor-Network Theory

상세내역
저자 이수연
소속 및 직함 인천테크노파크
발행기관 사회과학연구원
학술지 사회과학연구(Journal of Social Sciences)
권호사항 1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27-160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경제개발구   #라선경제무역지대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   #이수연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그간 인간 중심의 정책 관점에서 연구되어 온 북한 경제개발구를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북한 대외 교류의거점이자 물류산업을 대표하는 지역인 라선의 비인간 행위자들과 이들의 역할을검토하여 산업 공간으로써 라선경제무역지대의 형성 과정을 보고자 한다. 라선은일제 강점기 고유의 지정학적 위치를 배경으로 일제의 대륙 진출 및 수송의 기착지로써 발굴되었다. 이때 건설된 항만과 철도는 이후 라선의 산업 정체성을 형성하는주요 비인간 행위자이다. 이들 비인간 행위자들을 기반으로 라선의 산업 정체성이형성되었고, 북한은 라선의 지역적 가치를 높이 보고 라선을 대외 교류 및 물류 등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한 거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처럼 경제개발구라는 공간 정책은 라선 내 주요 비인간 행위자의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비인간 행위자는 경제 발전을 계획하는 지도자의 언어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이를 기반으로 법과 제도, 정책 등이 만들어지며 지역 내 산업 공간을구성하였다. 즉, 라선의 항만, 철도는 경제개발구 조성 이전에 산업의 발전을 위한인프라로 존재하였고, 이들의 존재는 정책 흐름에 의해 새로운 역할과 정체성을 부여받으며 경제개발구 조성에 일조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은 기존 경제개발구를 정책적 측면에서 접근하였던 방식을 넘어 왜 해당 지역에 산업 공간으로써 경제개발구가 등장하였는지 이해할 수 있게 하며, 향후 이 공간의 역할 모색에 있어 시사점을 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