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적대적 두 국가론’의 공식화와 북한 문화예술 정책의 변화 -민족공동체 지향에서 국가정체성 강화로-

From Ethnic Community to National Identity: The Institutionalization of North Korea’s “Hostile Two-State Theory” and Its Cultural Policy Transformation

상세내역
저자 정수희, 민경태
소속 및 직함 덕성여자대학교
발행기관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지 인문과학연구
권호사항 (4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69-201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북한   #정치담론   #우리국가제일주의   #적대적 두 국가론   #국가정체성   #문화예술 정책   #표현 전략   #정수희   #민경태
조회수 1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김정은 시대 북한은 민족 중심의 통일담론에서 벗어나 국가 중심의 정체성 담론을 강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정치담론의 전환 특히 ‘우리국가제일주의’의 부상과 ‘적대적 두 국가론’의 공식화가 문화예술 정책과 표현 양식에 미친 영향을 통합적으로 분석하였다. 2017년 등장한 우리 국가제일주의’는 민족 공동체적 상징을 약화시키고 체제 중심의 국가정체성을 강조하였으며, 2023년의 ‘적대적 두 국가론’은 남한을 명시적 적대국으로 규정함으로써 통일담론의 이념적 기반을 제 도적으로 대체하는 전환점이 되었다. 본 연구는 이념 전환의 흐름을 ① 민족공동체 지향기(2017년 이전), ② ‘우리국가제일주의’ 부상기(2017~2023), ③ ‘적대적 두 국가론’ 공식화기(2023년 이후)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 문학 공연 예술 시각매체 음악 등 예술 장르의 창작 주제와 표현 전략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반동사상문화배격법』, 『청년교양보장법』, 『평양문화어보호법』 등 제도적 통제 장치의 도입 양상을 고찰하여, 문화예술이 정치담론의 수동적 반영을 넘어 감정 통치의 실천 기제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혔다. 북한 문화예술은 ‘민족’이라는 상징을 배제하고 ‘강국’, ‘자력’, ‘우리 국가’와 같은 국가주의 기 호를 반복적으로 재현함으로써 국가정체성 담론을 감각적으로 내면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정치 전략은 남북 간 심리적 간극을 확대하고 문화적 분단을 고착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 기 위한 새로운 교류담론 모색과 문화정책 기획이 요청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