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습자 대상의 조선어교육을 이해하기 위해 조선어 교재에서 지시 화행의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조선어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삼고 숙달도 수준에 따라 지시 발화 행위의 유형과 전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지시 화행의 유형은 ‘제안’, ‘요구’, ‘명령’, ‘부탁’, ‘권고’, ‘제의’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명령’, ‘권고’처럼 청자의 행위에 대한 요구 정도가 강한 발화가 많이 등장한 것은 북한의 언어관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지시 화행 전략의 출현 양상을 분석한 결과 직접적 단계와 간접적 단계의 빈도는 비교적 고르게 나타났다. 그러나 직접적 단계에서는 ‘서법에 의한 도출’, 간접적 단계에서는 ‘제안성 어구’에 편중되어 있어 청자의 체면 손상을 고려하지 않는 대화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용론적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더불어 숙달도 수준이 높아질수록 북한 사회 및 체제 선전의 강조가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양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