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21세기 세계질서를 ‘신제국주의 질서’(Neo-Imperial Order)로 규정하고, 이러한 질서 하에서 러시아의 세계전략과 한반도 정책, 북러관계의 구조적 함의를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이 냉전・신냉전적 이념 대결 구도나 단편적 이슈 중심 분석에 머무른 데 반해, 본 논문은 러시아의 비서방 병렬 권역질서 구축전략의 일환으로 북러관계를 재조명한다. 이를 위해 신제국주의 질서론을 이론적 중심축으로 삼고, 구조적 현실주의, 전략적 제휴 이론, 지역주의 이론을 보완적으로 적용하였다. 분석 접근법으로는 구조–행위자 접근, 시기구조적 비교, 다자–양자구조 분석을 활용하여, 러시아의 전략적 선택이 어떻게 한반도 및 북한을 동북아 병렬 권역의 핵심축으로 편입시키는지를 규명하였다. 특히 북러관계는 단순한 양자 협력을 넘어 비서방 연계망의 병렬적 구조화와 세계질서 다극화 전략의 동아시아적 구현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이를 통해 한국의 외교・안보 전략 수립을 위한 이론적 시사점과 정책적 대응방안을 제시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