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신뢰 획득을 위한 군 언론대응 발전방안 연구

Enhancing Military Media Response Strategies for Building Public Trust

상세내역
저자 김태웅, 정순임, 양종훈
소속 및 직함 국방부
발행기관 국방정신전력원
학술지 정신전력연구
권호사항 (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65-30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군 영상정보 공개   #국민 신뢰   #위기 커뮤니케이션   #언론 대응 전략   #미디어환경 변화   #김태웅   #정순임   #양종훈
조회수 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25년은 북한의 목함지뢰 도발 사건이 발생한 지 10년이 되는 해다. 해당 사건은 단순한 무력 도발을 넘어 군이 위기 상황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정보를 공개하느냐에 따라 국민의 신뢰 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였다. 특히, 합동참모본부는 사건 발생 직후 신속한 브리핑과 함께 평소에는 군사보안을 이유로 공개하지 않던 열상감시장비(TOD) 영상을 이례적으로 제공했다. 이는 군의대응 능력과 장병들의 헌신을 시각적으로 입증하며 국민적 공감과 지지를 이끌어냈다. 반면, 천안함 피격 사건(2010), 서해 해수부 공무원 피격 사건(2020), 북한 무인기 영공 침입 사건(2023) 등에서는 영상자료의 지연 공개, 단편적 제시, 혹은 비공개로 인해 오히려 불신과 논란이 증폭되었다. 이러한 사례는 영상정보 공개의 시점과 방식이 여론 형성과 군 신뢰 구축에 핵심 변수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오늘날 미디어 환경은 텍스트 중심에서 영상 중심으로 급변하고 있으며, 국민은실제 상황의 장면이 담긴 영상에 더 높은 신뢰를 부여하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군도 유튜브, 실시간 영상 브리핑 등 영상 기반 홍보와 언론 대응을 확대하고 있으나, 전략적 공개 기준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목함지뢰 도발 사건과 천안함 피격 사건에서 군의 영상정보 공개 전략을 비교 분석하고, 언론인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영상정보 공개가 군에 대한 신뢰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군 위기 대응 시 효과적인 영상정보 활용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