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명
통일ㆍ북한 DB
연구보고서
학술자료
뉴스
단행본
기관/단체DB
기획사업자료
통일과나눔 기획사업
통일과나눔 연구사업
통일미래 준비사업
남북관계사
소개
아카이브 8000만 소개
현황
저작권 정책
통일과나눔
통일과미래
통일ㆍ북한 DB
연구보고서
국내
해외
학술자료
학술논문
학위논문
뉴스
단행본
정치/군사
통일/남북관계
경제/과학
사회/문화
지리/관광
법/인권
기관/단체DB
기획사업자료
통일과나눔 기획사업
통일과나눔 컨퍼런스
초당적 통일정책 전문가 포럼
청년통일축제 UniKorea Festival
교사 독일통일 현장 연수
행사·콘텐츠
통일과나눔 연구사업
통일학
북한학
남북통합정책
통일미래 준비사업
교육
컨퍼런스/포럼
공연/예술
영화/다큐
사회통합
기타
남북관계사
소개
아카이브 8000만 소개
현황
저작권 정책
통일ㆍ북한 DB
연구보고서
▼
국내
해외
학술자료
▼
학술논문
학위논문
뉴스
단행본
▼
정치/군사
통일/남북관계
경제/과학
사회/문화
지리/관광
법/인권
기관/단체DB
학술논문
공유하기
공유하기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
URL 복사
HOME
통일ㆍ북한 DB
학술자료
학술논문
북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에서 『조선어:류학생용』의 사용 환경과 통시적 변화 -1968년, 1973년, 1982년, 1991년, 2022년 판본을 대상으로-
Diachronic Changes and Usage Context of Joseoneo: ryuhaksaengyong for KFL in the DPRK
상세내역
저자
김한근
소속 및 직함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학술지
언어와 문화
권호사항
21(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9-11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외국어로서의 조선어교육
#조선어 교재
#통시적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김일성종합대학교
#김한근
조회수
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더보기
목차
... 더보기
이전글, 다음글
다음글
임화, 레드 매카시즘의 희생양 - 간첩 혐의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이전글
갈라진 정치는 외교 앞에서 멈출 수 있을까? 유권자의 이념 성향과 정당 지지가 외교정책 선호에 미치는 영향
목록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