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의 목표는 해방기에 활동한 창극단들의 향방을 추적하고 창작 창극의 경향성을 해석하며, 창극에서 ‘국민과 여성’이 재현되고 동원되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미군정기에는 조선고전음악연구회와 국극사가 새로 조직되어, 당대 현실을 배경으로 한 창작 창극을 공연했다. 광주 지역에서 결성된 조선고전음악연구회는 <건설하는 사람들>(1945)을 여러 지방에서 공연했고, 북한 지역에 유사한 이름의 단체가 조직된 즈음 사라졌다. 서울에서 결성된 국극사는 농민의 갈등을 경희극풍으로 다룬 <청산도 절로 사람도 절로>(1946)를 공연하며 일제 말기에 인기를 끈 박귀희의 여창남역 표현술을 재활용했다. 창극이 민족오페라로 불린 정부수립기에는 (역사)설화 소재작들이 공연되었는데, 항일을 행하는 여성을 앞세운 경우와 일제 말기의 화제작을 재공연한 경우로 나눌 수 있다. 국극사의 <선화공주>(1948)는 여성 주인공을 내세웠고, 조선창극단의 <의기 논개>(1948)와 김연수창극단의 <임진왜란과 계월향>(1949)은 전쟁터에서 ‘충의’을 행하는 여성의 자세를 강조했다. 일제 말기에 인기를 끈 망국사 소재작이나 중국 관련 작들이 공연되기도 했다. 국극협단은 <일목장군>(1944)을 개명한 <고구려의 혼>(1948)을, 국극사는 ‘맹강녀 설화’를 소재로 한 <만리장성>(1950)을 공연했다. 정부수립기 후기에는 여성국극(단)이 국가를 구하는 남성상을 재현한 (역사)설화 소재작을 발표했는데, 번안각색작과 고대사 소재작으로 나눌 수 있다. 여성국악동호회의 <햇님과 달님>(1949)은 번안각색작으로, 수수께끼를 푸는 지혜로 사랑을 쟁취하는 남성상을 그렸다. 여성국극동지사의 <황금돼지>(1949)는 고대사를 소재로 삼았고 ‘조선의 왕자’ 햇님이 황금돼지로 표상된 외세를 물리치고 ‘한(韓)의 월지국’을 구하는 내용을 통해, 전쟁에서 승리하는 용사상을 내세웠다. 여성국극은 여성 공연자가 나라를 구하는 남성상을 재현하는 공연물로서 군대의 후원을 받기도 했다. 여성국극은, 태평양 전쟁과 한국전쟁 사이 시기라는 (준)전시 상황에서, 국민/여성 역할을 상상케 하는 민족오페라가 되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