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 직후 조선공산당의 기관지로 창간된 『해방일보』는 1945년 9월부터 1946년 5월 폐간까지 남한의 급변하는 정치 지형 속에서 당의 선전 활동을 주도했다. 조공의 선전은 정세 변화에 따라 유기적으로 변화했으며, 이는 당의 정치적 입지 변화를 반영했다. 창간 초기 『해방일보』는 당 내부의 결속을 강화하는 한편, 조공의 정치 구상을 대중에게 전달하고 그 정당성을 선전하는 데 주력했다. 당 재건의 정당성을 강조하는 논설, 볼셰비키 규율을 강조하는 교양 기사, 그리고 모범적인 당원의 모습을 그린 소설 ‘강철’의 연재 등을 통해 중앙당에 대한 당원들의 복종과 헌신이 요구되었다. 이는 경성콤그룹 중심의 당 지도부가 반중앙파의 도전에 맞서 자신들의 정통성을 확립하고 당 조직의 통일성을 확보하려는 노력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에도 불구하고 당내 갈등은 쉽게 해소되지 않았다. 한편, 『해방일보』는 조공의 통일전선 전략을 반영해 한민당을 ‘반동’으로 규정하면서도 이승만·김구 등에 대한 평가를 유보하며 이들과의 제휴 가능성을 모색했다. 1945년 말 신탁통치 파동을 계기로 『해방일보』를 통한 조선공산당의 선전 활동은 전면 수정되었다. 1946년 초부터 『해방일보』는 식량난과 테러 문제를 집중 보도하며 우익에 대한 비판을 강화했고, 이는 당시 남한 사회의 주요 문제를 제기하고 대안을 모색하려는 시도였다. 특히 경찰의 편파성과 우익 청년단체의 폭력을 고발하는 기사를 통해 사회적 문제를 환기시키고자 했다. 1946년 3월 북한의 토지개혁 소식이 전해지자, 조공은 이를 활용해 남북한 정책을 비교하며 미군정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전략을 취했다. 미군정은 『해방일보』의 식량 문제 관련 보도에 심각한 주의를 기울이고 직접 경고하는 등 강경한 태도를 보였다. 이 시기 조공은 각지의 노동자, 농민, 일반 대중의 목소리를 기관지에 담아 내기 위해 통신망 구축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미 서울과 각 지역에서 미군정의 언론 통제가 강화되던 가운데 『해방일보』의 통신망 기획의 목표는 좌절되었고, ‘정판사 위조지폐’ 사건을 명분으로 미군정은 조공의 선전 창구를 봉쇄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