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속에서 새로운 것을 추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의식 변화로 길은 기능 중심의 ‘걷는 길’에서 목적 중심의 ‘걷고 싶은 길’로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 조성되고 있는 ‘걷고 싶은 길’은 길을 따라 걷는 과정에서 보고, 느끼고, 체험하는 다양한 목적을 가진 긴 선적 공간이라 할 수 있지만, 노선 선정 시 길을 걷는 과정에서 보여지는 길의 경관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길을 걸으면서 느끼고 지각하는 경관은 ‘걷고 싶은 길’을 이용하는 이용자에게 하나의 목적을 제공할 뿐 아니라, 길 이용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지만, 걷고 싶은 길의 경관적 측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북한산 둘레길을 대상으로 하여 경관적 측면에서 시각적으로 지각되는 길 경관에 대한 이미지 및 선호도를 분석하고, 이용 만족도와의 상관성을 분석함으로써 걷고 싶은 길 노선 선정 과정에서 경관적 측면을 고려하여 이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북한산 둘레길 13개 구간에 대하여 구간별 대표경관 사진을 선정하고, 경관평가를 위한 경관이미지 형용사를 선정하여 경관평가를 시행하였다. 경관평가를 통해 구간별 경관이미지, 걷고 싶음 및 경관선호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이미지 요인, 경관선호와 이용만족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경관이미지는 수목이 많고 인공적 요소의 지각이 덜한 길에서 ‘상쾌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나고, 인공적 요소의 지각이 높은 길에서 ‘도시적인’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걷고 싶음’과 ‘경관미 선호도’는 자연적 요소가 높아 ‘상쾌한’, ‘전원적인’ 이미지가 높은 길에서 높게 나타났다. ‘걷고 싶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쾌한-불쾌한」, 「인상적인-평범한」 이미지로 나타났으며, ‘경관미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상쾌한-불쾌한」, 「편안한-불편한」이미지로 나타났다. 또한, 경관선호도는 이용 만족도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