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百濟 橫穴式石室의 型式變遷과 系統關係

상세내역
저자 최영주
소속 및 직함 전남대학교
발행기관 백제문화연구소
학술지 백제문화
권호사항 1(48)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13-25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백제   #횡혈식석실   #단일유형   #복합유형   #서북한계통   #북부구주계통   #중국남조계통   #최영주
조회수 17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백제지역 횡혈식석실의 형식분류는 현실의 평면형태와 천장구조에 의해 20가지 기본형식으로 분류되며, 기본형식은 다시 석재와 용법, 현문구조에 의해 27가지로 세분되며, 횡구식석실은 방형과 장방형으로 분류된다. 폐쇄법은 횡혈식석실의 현문구조와 석재에 따라 결정되는데 이것은 횡혈식석실의 축조에서 폐쇄까지 일정한 약속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각 형식에 있어서 규모의 대응관계, 분포범위와 규모에 의한 변천을 살펴보았다. 전체 형식은 점차 현실의 규모가 축소되고 현실 폭이 좁아진다. 형식변천은 구조적인 특징에 의한 변천과정을 검토하였다. 각 단계는 형식의 출현과 소멸, 구조적인 특징, 규모의 차이에 의해 구분된다. 횡혈식석실의 유형은 고유한 특징으로 만들어진 단일양식과 두 가지 이상의 형식이 조합되서 새롭게 만들어진 복합유형이 존재한다. 단일유형은 A․B․C․D․E․F가 있고, 복합유형은 AE․CD․DF․EF가 있다. A․B․C유형은 서북한계통으로 나중에 백제화되며, D유형은 북부규슈계통, E․F유형은 중국 남조계통이지만, F유형은 백제 고유의 묘제로 발전되며, 복합유형도 백제 고유의 묘제로 발전된다. 이 외에 횡구식석실은 현실이 방형인 Ⅰ형식과 장방형인 Ⅱ형식으로 분류된다. 횡혈식석실의 선후․병행관계는 구조적인 특징(현실의 평면형태, 천장구조, 석재와 용법, 폐쇄법 등)의 변화를 기본으로 특정 석실이 출현하는 시기와 지역을 참고해서 검토하였다. 석실은 전체 5단계의 변천과정을 보이며 서로 유기적으로 연관되어 출현․발전․소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