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과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

Analysis o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n China

상세내역
저자 이선이, 리 샤오웨이, 양징, 주위주어
소속 및 직함 경희대학교
발행기관 외국문학연구소
학술지 외국문학연구
권호사항 (4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05-32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한국현대문학사   #조선-한국문학사   #김병민   #윤윤진   #김영금   #이선이   #리 샤오웨이   #양징   #주위주어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서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중국의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서술 양상은 구체적인 시대구분, 체제, 서술상의 특징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에 대한 인식의 실제를 검토하였다. 먼저 중국의 한국문학사 저술 현황에서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한국고전문학사와 한국근현대문학사 전반을 다룬 저술들을 개관하였으며, 여기서는 개별적인 장르사만을 다룬 경우는 제외하였다. 지금까지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5종이며, 1992년 한·중 수교 이후에 중국에서 발간된 한국문학사는 총 11종이었다. 발간 권수만으로도 양국 간의 수교 이후 한국문학사 집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로 명칭 문제, 남북한 문학의 포함 문제, 관점에 관한 문제, 시대구분과 그 명칭 문제, 언어 선택의 문제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점들은 한·중 양국의 역사적 전개 과정으로 인해 촉발된 현실로서, 중국에서 집필된 한국문학사를 분석하기 위한 인식의 전제가 되는 사안들이다. 이러한 점이 전제되지 않고 국내적 시각으로만 중국의 한국문학사를 평가한다면 여러 가지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도 있다.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중국에서 저술된 주요 한국현대문학사를 살펴보았다. 중국의 한국문학사 가운데 한국현대문학사를 대상으로 다루고 있는 경우는 총 9종이며, 오늘날 중국의 교육현장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한국문학사 연구 성과로 평가되는 김병민(1994)의 『조선문학사: 근현대부분』, 김병민 외(2004)의 『조선·한국당대문학사』, 윤윤진 외(2008)의 『한국문학사』, 김영금(2009)의『한국문학간사』와 『조선·한국문학사』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사 서술 양상을 분석하였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