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서울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의 암석학적 특성과 산지해석

Pet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Daejiguksatapbi (State Preceptor Daeji’s Memorial Stele) in Samcheonsaji Temple Site, Seoul

상세내역
저자 김지영, 이명성, 이찬희
소속 및 직함 공주대학교
발행기관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학술지 자원환경지질
권호사항 46(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93-104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대지국사탑비   #응회암질 각력암   #화강암   #산지해석   #복원   #김지영   #이명성   #이찬희
조회수 9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삼천사지 대지국사탑비는 고려시대 대지국사 법경의 행적을 기록한 석비이다. 이 탑비는 귀부, 비신 및 이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신은 발굴조사를 통해 약 255점의 파편으로 확인되었다. 탑비의 비신, 귀부 및 이수를 구성하는 암석은 각각 응회암질 각력암, 조립질 홍장석 화강암 및 세립질 화강암으로 동정되었다. 비의 구성암석과 동종의 암석산출지를 탐색하기 위해 지표지질조사를 실시한 결과, 강화도 해협 양안에 점재하는 응회암질 각력암을 확인하였으며조립질 홍장석 화강암과 세립질 화강암은 현재 삼천사지가 위치한 북한산에서 확인되었다. 비의 구성암석과 추정 산지 암석의 성인적 동질성을 규명하기 위해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분석 결과, 추정 산지 암석의 광물조성, 조직, 암상적 특징과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탑비 구성암석과 매우 유사하였다. 따라서 비신은 강화도 해협 일대, 귀부와 이수는 삼천사지 주변이 석재 공급지였을 가능성이 아주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현재 심하게 파손된 비신의복원 시 신석재를 선택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