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제3차 북핵 실험 이후 북한의 무력도발 가능성과 군사적 측면에서의 한국의 대응

The Analysis of the Probability of War-provocation by N. K. and Military Preparedness of R.O.K. since 3rd Nuclear Experiment

상세내역
저자 김태웅
소속 및 직함 원광대학교
발행기관 한국동북아학회
학술지 한국동북아논총
권호사항 18(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1-46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전쟁발발 원인   #선제 핵 기습타격   #전시 작전권 통제   #군사대비태세   #김태웅
조회수 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2012년 12월의 북한 장거리 발사 실험과 금년 2월의 제3차 북 핵 실험 이후, 북한은 핵무기 보유와 대륙간 탄도 미사일 완성을 기정사실화 하려는 전략과 함께, 선제 핵무기 기습 타격 및 서울 불바다 폭언 등을 행하여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위협 및 전쟁 도발 가능성을 크게 증대시켜 왔다. 여기에 필자는 월츠의 체제 접근론을 보완한 나이 교수의 전쟁 원인론에 기초하여 전쟁 발발 가능성을 분석 및 평가해 보고, 북한의 가능성 있는 전쟁도발 유형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포괄적인 대비방향을 국방정책 및 전략 측면에서 제시해 보았는데, 북한의 가능성 있는 전쟁도발 가능성을 평가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핵미사일 문제로 극도로 악화된 한반도 위기상황은 미-중간의 양극구도 심화 및 경직성 증가와 김정은 체제의 호전성 증가로 집단 연루 전쟁의 야기와 그 범위 및 강도를 확대ㆍ증폭시킬 수 있으며, 둘째, 핵무기를 포함한 북한의 비대칭적 권력의 증가와 체제위기에서 오는 북한 지도체제의 전쟁 오판 가능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고, 한미동맹 체제의 결속력과 미국의 대한국 방위의지 약화 기미가 나타날 경우 시험적 측면에서라도 다양한 형태의 국지적ㆍ전면적 도발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안보위협 상황 속에서, 군사대비 측면에서의 효율적인 대응을 위해 첫째, 한국적 핵전략 수립 및 시행이 국가생존 차원에서 강구되어져야 하며, 둘째, 북한의 선제 핵 기습타격을 포함한 다양한 현재적 무력도발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장거리 정밀공격 및 수도권 방호를 위한 확고한 방공전력이 확보되어야 하고, 셋째, 사이버 안보태세를 갖추어야 하며, 넷째 전시 동원체제 및 향토방위태세를 갖추어야 할 뿐만 아니라, 다섯째, 전시 작전통제권 전환 시기 재연장 및 한미연합사 존속 등 한미 동맹체제 공고화 방안 재검토 및 배비 등의 조치가 총체적으로 강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