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탈)분단과 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 ‘여행하는’ 탈북 난민들의 삶과 인권에 대한 사례연구

(Post)Division and Actor-Network of International Migration: Case Study on the Life and Human Rights of ‘Traveling’ North Korean Refugees

상세내역
저자 이희영
소속 및 직함 대구대학교
발행기관 북한연구학회
학술지 북한연구학회보
권호사항 17(1)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355-393
발행 시기 2025년
키워드 #탈북자   #난민   #국민국가   #인권   #벌거벗은 생명   #행위자-네트워크   #이희영
조회수 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최근 한국사회에 정착했던 탈북자 중 상당수가 해외로 재이주 하고 있다. 이 연구는 대한민국의 보호탈북자로 영국 및 노르웨이로 이주했던 경험이 있는 탈북자들에 대한 구술을 토대로 이들의 국제이주가 갖는 특징과 의미를 재구성하였다. 첫째, 탈북자들의 해외 재이주는 북한, 중국, 대한민국의 국가 폭력에 대한 ‘벌거벗은 생명’의 직, 간접적인 저항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반복되는 이주의 과정을 통해 탈북자들의 정체성이 ‘증식’된다. 국가 간 경계를 반복적으로 이동하면서 이들은 상황과 조건에 맞는 새로운 ‘자기’를 증식하며, 서로 다른 정체성이 공존하고 있다. 셋째, 반복적인 이주를 통해 새로운 삶을 기획하고자 하는 탈북자(인간행위자)와 분단장치, 관련국가의 이주체제, 전 지구적 압축과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통신기기 등과 같은 사물행위자들의 동맹에 의해 탈북-탈남-국제이주의 행위자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다. 넷째, 탈북자들이 중국을 거쳐 대한민국에 입국하여 국적을 취득한 후, 다시 타국의 난민지위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한반도의 분단장치가 이들의 정체성 증식과 정체성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자원’으로 번역되고 있다. 다섯째, 국민과 난민의 패러다임을 벗어나 자연권적 인권을 보장하기 위해 국적주의적 관점을 넘어서는 사회적 기획과 실천이 절실히 요청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