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단 이후 실시해온 통일교육의 하위 영역은 북한 이해교육 안보교육 이데올로기 비판교육 통일대비교육 평화교육 등이 있다 그 중 북한이해교육은 모학문인 북한학의 학문적 성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져야 하는 것이 너무나 당연하다 그동안 통일교육에서의 북한이해교육은북한을 왜 다루어야 하고 북한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야 하며 북한에 대해 어떻게 가르쳐야하는가를 다루는 교육이다 이를 위해 북한문제에 대한 연구의 전문화와 특성화를 위해 새롭게 등장한 북한학의 학문적 성과와 북한이해교육을 연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고에서는 도덕과에서 통일교육의 하위 영역으로 실시하는 북한이해교육과 북한학의 상보적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북한학의 대두 배경과 학적 정립의 과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도덕과에서 실시해온 북한이해교육의 변천을살펴볼 것이다 끝으로 북한학의 학문적 성과를 바탕으로 북한이해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도록 하겠다 본고는 북한학의 연구결과에 근거한 북한이해교육이 감정에 치우치거나 지나치게 규범적으로 접근하는 문제에서 벗어나도록 해줄 수 있을 것이라 데 중점을 두고 전개되었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