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2016년 국회의원 선거 이후 시민들의 통일의식 변화 : 이념적 양극화인가, 당파적 편향인가?

South Korean Citizens’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fter the 2016 National Assembly Election : Ideological Polarization or Partisan Bias?

상세내역
저자 정동준
소속 및 직함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발행기관 한국정치학회
학술지 한국정치학회보
권호사항 50(5)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131~161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통일의식   #당파성   #이념 성향   #정치 양극화   #정부 평가   #국민의당
조회수 95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의 2016년 『통일의식조사』 설문자료를 중심으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통일과 대북정책에 대한 시민들의 태도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당파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통일 이슈와 대북정책의 인식과 평가, 모두에서 예년에 비해 당파적 편향이 증가하였음이 관찰되었다. 통일과 대북정책의 인식의 측면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이 다른 정당에 비해 보다 편향된 모습을 보인 반면, 대북정책과 정부의 평가에 있어서는 새누리당 지지층의 편향이 두드러졌다. 이와 달리 이념 성향의 영향력은 과거에 비해 눈에 띄게 감소함으로써, 올해 나타난 시민 수준의 양극화는 이념적 차이보다는 당파적 편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끝으로 국회의 제3당으로 부상한 국민의당은 통일과 대북정책에 있어서 새누리당과 더불어민주당의 중간적 입장을 띠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국민의당 지지층의 움직임이 당파적 분열의 문제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explores how South Korean citizens’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olicies have changed according to their partisan identities after the 2016 legislative election. Using the Unification Attitude Survey data from the Institute for Peace and Unification Studie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cted from 2011 to 2016, a set of regression analyses find that their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North Korean policies, and government performance after the election have been more divided along their partisan lines than the previous years; those who support the The Minjoo party have shown more partisan-oriented views on unification issues and North Korean policies, whereas their Saenuri counterparts have been more partisan in evaluating the current government and its North Korean policies. Given that the 2016 data show that the role of ideology has substantially weakened in accounting for those attitudes, such polarization of citizen attitudes can be argued to be a consequence of an increase in partisan bias rather than that of ideological polarization. Lastly, the People’s party newly emerged as the National Assembly’s third largest party is found to have its supporters who are in general positioned in the middle of their Saenuri and The Minjoo counterparts in terms of attitudes toward unification and North Korean policies.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과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