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before and after Immigration Experiences of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Born in the Third Countries into Sou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정주영, 박정란
소속 및 직함 부산복지개발원, 인제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청소년복지학회
학술지 청소년복지연구
권호사항 18(4)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pp.219~250
발행 시기 2016년
키워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   #현상학연구   #정주영   #박정란
조회수 9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의 삶의 경험의 의미를 Giorogi의 현상학적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그 결과 총 326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하위경험요소, 10개의 경험요소 그리고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중도입국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한 한국전후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배려받지 못하고 홀로 버티는 삶’이었다. 제 3국에서의 경험은 ‘엄마가 없는 시간의 슬픔과 상처’였으며 한국 입국과정은 ‘제 3국 가족들의 반대에도 엄마를 찾아 한국에 옴’이었다. 한국 입국 후 경험의 의미는 ‘달라진 엄마, 달라진 환경 속에서 혼란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는 다음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먼저 어머니와의 관계와 낯선 환경 적응을 위한 심리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북한출신 어머니와 자녀들에 겪는 세대갈등 이상의 문화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부모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이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하여 새로운 가족과의 소통과 제3국과의 가족과의 지속적 교류를 도와야 한다. 넷째, 단순한 언어습득이 아닌 문화차이를 고려한 효과적인 언어교육과 진로지도가 필요하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s of experiences that the North Korean defectors' children who were born in 3rd country into South Korea by using the Giorgi's Phenomenological analysis. Data were classified into 326 types of contents, 10 categories of experience, 24 subcategories of experience. Plus, it drew the intrinsic meaning, 'North Korean defectors withstood hunger and deprivation on their own without any concern.' Another finding was that the experience of child defectors in 3rd countries represented their grief without their mother, which caused young defectors to enter South Korea to seek their mother without their family's consent. After immigration into South Korea, child defectors undergo confusion and conflict because their mother were not same as before and they were surrounded by the unfamiliar environment. The study implies that an psychological intervention should provide child defectors so that they adjust to a new environment and the education for parents with young defectors should be performed so as to solve cultural conflicts between North Korean mothers and her children. In addition, it is essential to offer young defectors with a channel to communicate with their biological family and their new family, which helps child defectors to be mentally stable. Lastly, language education, which is not a tool to merely acquire the language but to apprehend cultures, and a guide to young defectors' future should be necessary.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