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에 따른 군집유형별 문화적응 스트레스, 일상적 차별감, 남/북 공동체 지지 간 차이

The Differences of Acculturation Stress, Everyday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from North/South Korean according to Acculturation Clusters of North Korean Refugee Youth in South Kore

상세내역
저자 한나;이승연;이지영
소속 및 직함 이화여자대학교
발행기관 한국심리학회
학술지 한국심리학회지
권호사항 31(2)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77~99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문화적응   #문화적응 스트레스   #차별   #사회적 지지
조회수 121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진입기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 유형을 분류하고 그에 따른 심리사회적 특성의 차이를 살펴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다차원 문화적응 모델을 기반으로 원문화 및 주류문화에 대한 문화지향성을 문화적 행동과 가치라는 두 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문화적응 하위유형을 분류하였다. 이를 위해 20대 북한이탈 청년 94명(남: 38명, 여: 5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군집분석과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북한이탈 청년의 문화적응은 세 개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남한문화 행동이 적은) 부분 통합’, ‘(북한문화 행동․가치가 보통인) 부분 분리’,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 한편,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는 가장 낮은 문화적응 스트레스(문화충격/이질감, 차별, 주변화)를 보고한 반면, ‘(남한문화 행동이 적은) 부분 통합’은 가장 높은 일상적 차별감(불공정 대우, 개인적 거절감)을 보고하였다. 또한 ‘(남한문화 행동이 우세한) 동화’는 ‘(북한문화 행동․가치가 보통인) 부분 분리’ 보다 남한 공동체 지지 수준이 높았다.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탈 청년의 남한사회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먼저 남한사회의 차별적 분위기를 감소시키고 두문화주의가 가능한 사회문화 맥락을 만드는 것의 중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lassify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based on the multidimensional acculturation model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mong North Korean refugee youth. For this reason, after we respectively divided heritage/receiving cultural orientations into two domains(cultural behaviors and values). Participants were 94 North Korean refugee youths aged 18 to 28 (male: 38, female: 56). Self-report data was analyzed using the cluster analysis and analysis of variance. The acculturation strategies were categorized 3 types as follows: ‘the partial integration (with small cultural behaviors of South Korea)’, ‘the partial separation (with average cultural behaviors․values of North Korea)’, ‘the assimilation (with superior cultural behaviors of South Korea).’ The assimilation was the lowest on acculturation stress, while the partial integration was the highest on everyday discrimination. The support from South Korean als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assimilation than in the partial separation. Based on results, we discuss the importance of creating sociocultural context of biculturalism to improve their adaptation.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