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남북 사회 통합에 최우선적으로 필요한 공교육 국어교과 교류를 위한 “공유공간”의 준비 및 운영역량의 디자인으로서, 미래 통일학 세대의 소통스킬을 질적으로강화하는 것이다. 공유공간은 글로벌 규모의 OECD 2030 “공유공간” 개념을 한반도 지역의남북간 실정에 적합하게 원리 적용하였다. 또한, 그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소통조력 도구를 디자인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적합성 원리와 OECD 2030을 기반으로 한공유공간에 대한 적합성 모델을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둘째, 소통스킬의 상태 변화과정을 순서도로 제시하였다. 셋째, 소통조력 도구로서 “발달-사회제도적 필터” 및 16개 변인으로 구성된 “OECD 2030-사회제도적 필터”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 소학교 1학년 국어과목에개발한 필터를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통일학 소통세대를위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남북 간 교육 통합뿐만 아니라 남한 내 다문화 및 세대간소통스킬을 제고하는 관점 전환의 계기가 될 것이다. 또한, 글로벌 지향에 적합한 소통스킬을갖춘 통일 인재 육성의 가능성을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