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논문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School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y: Qualitative Case Study

상세내역
저자 양혜린;고윤정;김옥수;박연미;이혜란
소속 및 직함 연세대학교
발행기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학술지 학교사회복지
권호사항 39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205~229
발행 시기 2017년
키워드 #제 3국 출생 탈북 청소년   #학교생활   #학교적응   #질적 사례연구
조회수 102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의 학교생활 경험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이들이 학교생활 적응 시 겪는 어려움에 대한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 9명과의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사례연구 접근으로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 경험은 ‘언어의 벽을 넘어서기 위한 노력, 한계가 느껴지는 또래 관계, 따라가기 버거운 학교공부, 힘이 되어준 사람들, 녹록치 않은 삶에서 그리는 꿈과 미래’의 다섯 가지 범주로 구성 되었다.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은 한국 입국 후 한국어 구사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언어구사능력의 한계는 또래관계 및 학업성취의 어려움으로 이어졌다. 한편, 마음을 털어놓고 의지할 수 있는 친구들과 선생님의 존재는 학교생활 적응에 큰 힘이 되어주고 있었으며, 이들은 여러 난관 속에서도 꿈을 가지고 미래를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제3국 출생 탈북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어려움 완화 및 학교생활 적응을 위한 실천적, 정책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chool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y in order to draw support plan for their difficulties in adapting to school life. The data was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of nine North Korean defectors from third country and analysed with case study approach. As a result of the study, experience of adapting to school life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ird country appeared as following five categories: ‘Efforts to overcome the language barrier’, ‘Peer relationship with limitations’, ‘Friends and teachers who are towers of strength’, ‘Dreams and Future of Life’. The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y were experiencing difficulty from lack of Korean language ability after entering South Korea, and the limit of language ability leads to the difficulty of peer relations and academic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presence of reliable friends and teachers played a role as great support while adapting to school life. Even in a variety of difficult situations, students were planning their future with dream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practical and policy improvements for the psychological and social difficulties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born in the third country and adaptation to school life were suggested.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