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김정은 시기의 핵전략 변화 연구 -대외환경과 김정은의 선택-

상세내역
초록
미국과 중국은 국제체제의 구조를 변화시키는 힘이 있고 약소국인 북한은 국제체제의 구조에 적응해야 한다. 핵을 가진 약소국인 북한 김정은 정권의 핵전략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김정은 정권의 핵전략 변화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해답을 모색하기 위해 신고전적 현실주의(Neoclassical realism) 관점에서 김정은 핵전략의 변화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부터 약소국에 불과한 북한 김정은 정권은 대외환경 변화라는 국제체제의 구조적 압력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어떻게 내부의 핵·미사일 동원능력을 활용하여 어떠한 핵전략을 추진하였는가를 추적하였다.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로 미국의 상대적 국력은 쇠퇴하고 중국의 국력은 부상하면서 미·중 간 우호적 관계가 경쟁과 갈등이라는 적대적 관계로 전환되었다. 미국은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하여 2011년 이라크에서 철군과 동시에 ‘아시아 회귀(Pivot to Asia)’라는 ‘재균형(re-balancing)’ 전략을 추진하였다. 중국은 ‘중국몽’을 달성하기 위해서 ‘신형대국관계’와 ‘일대일로’ 전략을 추진하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힘을 통한 평화’ 기조를 내세웠고, 2017년 미국의 NSS 보고서에서 중국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을 몰아내고 국가주도형 경제모델을 확대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지역 질서를 재편하려는 현상타파세력(Revisionist)으로 규정함으로써 미·중 적대적 관계가 심화하였다.
2011년 12월 김정일 사망으로 권력을 계승한 김정은은 미·중 적대적 관계라는 동아시아 국제정치 질서 변화를 북한의 지정학적 가치부각의 기회로 인식하였다. 이와 함께 김정은은 북한의 지속적인 핵무기와 탄도미사일 실험에 대한 유엔의 대북제재에 중국이 사실상 참여하는 것을 위협요인으로 인식하였다. 그 결과 김정은은 2012년 4월 사회주의 헌법에 ‘핵보유국’을 명시하면서 김일성, 김정일과 차별화되는 정체성을 확보하였고 2016년 5월 김정은 정권은 제7차 당 대회에서 ‘동방의 핵대국’을 제시하면서 핵억제력 강화를 강조하였다. 김정은 위원장은 2013년 경제·핵 병진노선을 통해 핵과 미사일 능력을 개선한 이후 2017년 국가핵무력완성을 통해 대미 내적균형을 추구하였다. 
김정은 정권은 제한적인 확증보복 핵전략을 통해 핵억제력을 확보하면서 미국과 협상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12월 유엔 사무차장 펠트먼을 통해 김정은 위원장과 대화할 의도가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였다. 김정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비밀 제안을 수락하고 북미 정상회담 회담 추진을 통해 중국을 자극하여 소원했던 중국 관계를 복원하는 동시에 미국과의 핵협상을 진행하는 자주적 균형외교를 전개하였다. 
바이든 행정부는 부상하는 중국을 봉쇄하기 위해서 동맹국과 함께 통합억제 전략을 펼쳤다. 이에 맞서 중국은 러시아, 북한, 이란, 파키스탄, 캄보디아, 라오스, 쿠바 등 우호국들과 국제연대 전략을 통해 미국 일방주의에 반대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군사적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첨단기술에 대한 중국의 접근을 억제하기 위해 디리스킹 전략과 반도체과학법을 추진하고 있다. 시진핑 정부는 내수와 수출의 균형을 이루겠다는 ‘쌍순환’ 전략을 전개하면서 구(舊)경제 산업에 대한 투자를 축소하고 4차 산업과 첨단산업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바이든 행정부는 북한의 지속적인 ICBM 발사에도 불구하고 북한과 섣부른 대화 재개를 통해 북한에 양보하는 모습을 보이는 경우 미국 내에서 정치적 역풍에 직면할 가능성을 우려해 북한과의 대화를 재개하지 않았다.
김정은 정권은 미·중 적대관계와 미·러 갈등관계를 신냉전으로 인식하고 ‘대미 강대강 대적투쟁원칙’을 제시하였다. 김정은 정권은 핵과 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효율적으로 동원하기 위해 ‘국방발전 및 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을 발표하였다. 역사적으로 중국과의 관계에서 협력과 긴장관계를 번갈아 경험했던 북한 김정은 정권은 새로운 대안으로 러시아와 ‘포괄적 전략적 동반자관계에 관한 조약’을 체결하면서 미국으로부터 핵위협을 억제할 수 있으며 유엔제재를 무력화할 수 있는 대미 외적균형을 추구하고 있다. 첨예한 미·중, 미·러 갈등구조를 활용하고 있는 김정은 정권은 ‘사실상 핵보유국’ 목표를 추진하고 있다. 이를 위해 김정은 정권은 미국을 표적으로 하는 확증보복 핵태세를 강화하면서 한국을 표적으로 하는 비대칭 확전 핵태세를 확보하는 이중억제 핵전략을 전개하고 있다. 
김정은 정권이 기대하는 최선의 시나리오는 미국을 표적으로 하는 전략핵 감축을 통해 사실상 핵보유국으로 인정받고 미국과 외교관계를 정상화하고 유엔의 대북제재 해제를 통해 중국에 대한 과도한 경제의존도를 낮추는 것이다. 김정은 정권은 2기 트럼프 행정부와 핵담판을 하기 위해서 미국을 상대로는 이중억제 핵전략을 강화하면서 남북관계는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며 한국을 핵담판에서 제외시키려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고전적 현실주의 관점에서 약소국인 김정은 정권이 대외환경 변화라는 국제체계 구조적 압력을 어떻게 인식하였고 내부의 핵·미사일 동원능력을 어떻게 활용하여 어떠한 핵전략을 추구하고 있는가를 분석했다. 김정은 정권은 이중억제 핵전략을 통해 향후 대외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한 핵전략을 전개하고 있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the power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and North Korea, a weak country, must adapt to the struct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How has the nuclear strategy of the Kim Jong-un regime of North Korea, a weak country with nuclear weapons, changed? What are the factors that changed the nuclear strategy of the Kim Jong-un regime? In order to find answers to these questions, we will analyze the factors that changed Kim Jong-un’s nuclear strategy from the perspective of neoclassical realism. We will study how the Kim Jong-un regime, a weak country, perceived the structural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which is a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how it utilized its internal nuclear and missile mobilization capabilities, what external strategy it established, and what nuclear strategy it pursued for the strategy.
The 2008 financial crisis in the United States caused the relative national power of the United States to decline and the national power of China to rise, and the friendly relationship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turned into a hostile relationship of competition and conflict. In order to check the rise of China, the United States withdrew its troops from Iraq in 2011 and switched to a ‘rebalancing’ strategy called the ‘Pivot to Asia’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chieve the ‘Chinese dream’, China pursued the ‘new type of great power relations’ and the ‘One Belt One Road’ strategy. The Trump administration advocated the keynote of ‘peace through strength’, and in the 2017 US NSS report, China was defined as a revisionist force that was pushing out the United States from the Indo-Pacific region and expanding its state-led economic model to reorganize the regional order in its favor, which deepened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Kim Jong-un, who came to power after the death of Kim Jong-il in December 2011, viewed the changing international political order in East Asia, such as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as an opportunity to highlight North Korea’s geopolitical value, and perceived China’s active participation in the U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response to North Korea’s continued nuclear weapons and ballistic missile tests as a threat. In April 2012, he secured an identity different from Kim Il-sung and Kim Jong-il by specifying a ‘nuclear state’ in the Socialist Constitution. In May 2016, the Kim Jong-un regime emphasized strengthening nuclear deterrence by presenting itself as an ‘Eastern nuclear power’ at the 7th Party Congress. In 2013, it improved its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through the parallel development of economy and nuclear weapons, and in 2017, it developed a strategy of internal balancing against the US by completing its national nuclear force.
The Kim Jong-un regime sought to secure nuclear deterrence through a limited assured retaliation nuclear strategy while pursuing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In December 2017, President Trump sent a message through UN Under-Secretary-General Jeffrey Feltman that he was willing to talk to Kim Jong-un. Chairman Kim Jong-un accepted Trump’s secret proposal and pursued an independent and balanced diplomacy by promoting a North Korea-US summit, stimulating China, restoring the estranged China relationship, and making nuclear negoti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The Biden administration is pursuing an integrated deterrence strategy with its allies to contain the rising China. China is opposing US unilateralism through an international solidarity strategy with friendly countries such as Russia, North Korea, Iran, Pakistan, Cambodia, Laos and Cuba. The Biden administration is pursuing a de-risking strategy and the Semiconductor Science Act to restrict China’s access to advanced technologies that can be used for military purposes. The Xi Jinping administration is reducing investment in old economy industries and expanding investment in the 4th industry and advanced industries while pursuing a ‘dual circulation’ strategy to balance domestic demand and exports. Despite North Korea’s continued ICBM launches, the Biden administration has not resumed dialogues with North Korea for fear of facing political backlash in the United States if it appears to make concessions to North Korea by prematurely resuming dialogues with North Korea. 
The Kim Jong-un regime recognizes the hostile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US and Russia as a new Cold War and has proposed the principle of ‘a strong-against-the-US confrontational struggle’. In order to efficiently mobilize th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necessary for the advancement of nuclear and missile capabilities, the Kim Jong-un regime announced the ‘Five-Year Plan for National Defense Development and Weapon System Development’. The Kim Jong-un regime, which has historically experienced cooperation and tension with China, is pursuing a strategy of external balancing against the US by concluding the ‘Treaty on Comprehensive Strategic Partnership’ with Russia as a new alternative, which can deter nuclear threats from the US and neutralize UN sanctions. The Kim Jong-un regime, which is utilizing the sharp conflict structures between the US and China and the US and Russia, is pursuing an external strategy of being a ‘de facto nuclear state’. To this end, the Kim Jong-un regime is developing a dual deterrence nuclear strategy that strengthens the assured retaliatory nuclear posture targeting the US while securing an asymmetrical escalation nuclear posture targeting South Korea.
The best-case scenario for the Kim Jong-un regime is to be recognized as a de facto nuclear power through strategic nuclear reduction targeting the United States, normalize diplomatic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reduce excessive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by lifting UN sanctions on North Korea. The Kim Jong-un regime is advocating a ‘two-state theory of the South and the North’ that bypasses South Korea while strengthening the dual deterrence nuclear strategy in order to negotiate nuclear talks with the next US administration. 
This study analyzed how the Kim Jong-un regime, a weak state, perceived the structural pressure of the international system, which is a change in the external environment, from the perspective of neoclassical realism and how it utilized its internal nuclear and missile mobilization capabilities to pursue what kind of external strategy and nuclear strategy it pursue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the Kim Jong-un regime is developing a flexible nuclear strategy that can respond to future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ment through the dual deterrence nuclear strategy.
목차
"국문요약 = ⅶ
제1장 서론 = 1
제1절 문제제기 = 1
제2절 선행연구 검토 = 4
1. 핵억제이론 관점에서 본 북한 핵전략 = 4
2. 핵태세 최적화 이론 관점에서 본 북한 핵전략 = 6
3. 신현실주의 관점에서 본 북한 핵전략 = 10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 14
제2장 이론적 배경과 분석틀 = 15
제1절 신고전적 현실주의 = 15
제2절 핵전략 이론 = 24
1. 미·소 상호확증파괴 핵전략 = 24
2. 지역 핵국가의 핵태세 최적화 전략 = 26
제3절 분석틀 = 33
제3장 대외환경과 김정일의 핵전략(1991-2008): 실존억제 핵전략 = 39
제1절 대외환경 = 39
1. 클린턴 행정부 시기 미·중 관계 = 39
2. 부시 행정부 시기 미·중 관계 = 42
3. 북·미 관계 = 43
제2절 김정일 정권의 정체성과 인식 = 49
1. 고난의 행군 = 49
2. 사회주의 강성대국 = 50
제3절 김정일 정권의 핵·미사일 동원능력 = 53
1. 선군정치 = 53
2.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 54
제4절 김정일 정권의 실존억제 핵전략 = 59
1. 핵개발과 안보위기 타파 = 59
2. 핵실험과 협상강제 = 62
3. 실존억제 핵전략 = 68
제4장 대외환경과 김정은의 핵전략(2009-2020): 확증보복 핵전략 = 71
제1절 대외환경 = 71
1. 오바마 행정부 시기 미·중 관계 = 71
2. 트럼프 행정부 시기 미·중 관계 = 88
3. 미·중 북한 비확산을 위한 협력 = 96
4. 북·미 관계 = 100
제2절 김정은 정권의 정체성과 인식 = 109
1. 사회주의 헌법에 핵보유국 명시 = 109
2. 제7차 당대회와 동방의 핵대국 지향 = 111
제3절 김정은 정권의 핵·미사일 동원능력 = 115
1. 경제·핵 병진노선 = 115
2. 북한의 핵·미사일 동원능력 = 119
제4절 김정은 정권의 확증보복 핵전략 = 122
1. 국가핵무력 완성과 내적균형 = 122
2. 북·미 정상회담과 자주적 균형외교 = 125
3. 핵보유국법 = 130
4. 확증보복 핵전략 = 133
제5장 대외환경과 김정은의 핵전략(2021-2024): 이중억제 핵전략 = 139
제1절 대외환경 = 139
1. 바이든 행정부 시기 미·중 관계 = 139
2. 북·미 관계 = 146
제2절 김정은 정권의 정체성과 인식 = 149
1. 제8차 당대회와 핵·미사일 고도화 = 149
2. 신냉전과 강대강 대적투쟁원칙 제시 = 151
제3절 김정은 정권의 핵·미사일 동원능력 = 153
1. 국방발전 및 무기체계 개발 5개년 계획 = 153
2. 북한의 핵·미사일 동원능력 = 155
제4절 김정은 정권의 이중억제 핵전략 = 159
1. 러시아와 전략적 협력과 외적균형 = 159
2. 사실상 핵보유국 추진 = 163
3. 핵무력정책법 = 164
4. 이중억제 핵전략 = 167
제6장 결론 = 172
참고문헌 = 178
ABSTRACT =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