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사회통일교육의 변천과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이갑준
학위 박사
소속학교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전공 북한학과 북한체제전공
발행연도 2022년
쪽수 265
지도교수 고유환
키워드 #이갑준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시민사회   #사회적 합의   #민주시민교육
조회수 6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
목차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선행연구 분석 4
제3절 연구의 방법과 논문의 구성 16
1. 연구의 방법 16
2. 연구의 범위와 논문의 구성 17
제2장 사회통일교육의 개념과 이론적 적용 19
제1절 통일교육의 개념과 목표 19
1. 통일교육의 개념 19
2. 통일교육의 목표 24
제2절 사회통일교육 개념과 필요성 29
1. 사회통일교육의 개념과 등장 29
1) 사회교육 정의와 교육의 법적 근거 29
2) 사회통일교육 개념과 근거 41
2. 통일의식과 사회통일교육의 필요성 58
1) 2030 통일의식 58
2) 국민통일의식 64
제3절 거버넌스와 관련한 이론적 배경 68
1. 거버넌스 개념 69
2. 거버넌스 등장 배경과 유형 73
3. 시민사회 이해 84
4. 협력적 거버넌스를 통한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95
제3장 사회통일교육 변천 102
제1절 광복이후1980년대: 반공교육 시기 103
1. 광복이후1980년대 남북한 관계 104
2. 광복이후1980년대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 110
제2절 1990년대: 사회통일교육과 거버넌스 형성기 117
1. 1990년대 남북한 관계 117
2. 1990년대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 119
제3절 2000년대 이후: 사회통일교육과 거버넌스 발전기 122
1. 2000년대 이후 남북한 관계 122
2. 2000년대 이후 통일교육 목표와 내용 124
제4장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129
제1절 통일교육지원법의 의미와 기본 원칙 130
제2절 사회통일교육 주체별 거버넌스 현황 134
1. 통일교육협의회 회원단체 134
2. 지역통일교육센터 150
3. 통일관 158
제3절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문제점 162
1. 사회통일교육 주체 간 네트워크 부재 162
2. 통일교육 내용의 사회적 합의 부재 164
제5장 사회통일교육 거버넌스 활성화 방안 168
제1절 사회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지원과제 168
1. 사회통일교육 지원법의 실효성 확대 168
2. 사회통일교육 분야의 민관 협력 개선 173
제2절 사회통일교육 활성화 방안 177
1. 통일교육지침서 내용의 대중화 177
2. 2030 통일공감대 모색 179
3. 평화통일 퍼실리테이터 양성 187
4. 통일국민협약 성격의 통일교육 사회적 합의 190
5.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와 연대 193
제6장 결론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