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북한의 영어교육 동향 분석 : 교육정책, 교수안, 교과서를 중심으로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황서연
학위 박사
소속학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전공 영어교육학과 초등영어교육전공
발행연도 2022년
쪽수 293
지도교수 김정렬
키워드 #황서연   #초등영어교육   #북한 영어교육   #북한 영어교육 동향   #교육정책   #교수안   #교과서
조회수 9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의 교육 분야에서 중요한 과목으로 여겨지는 영어교육의 현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다양한 북한의 자료들과 영어교과서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 영어교육의 현실과 특징을 파악하여 통일 이후에 안정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교육잡지, 소학교 영어교수안,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교육 관련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영어교육 기사를 분석하여 북한에서 교원들에게 전달하고 현장에서 실행되는 영어교육의 정책 방향과 실태를 분석한다. 둘째, 북한의 소학교 영어교수안을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초등교육단계에서 북한의 영어교육의 현실을 파악한다. 셋째, 북한 2013 개정 전후의 중등학교 영어교과서의 구성체제, 어휘를 분석하여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육의 실태와 동향을 파악한다. 넷째, 북한 2013 개정 중등학교 영어교과서를 우리나라 2015 중등학교 영어교과서와 어휘 사용, 어휘 구성에 따른 비교・분석으로 북한의 영어교육의 현장 교실 모습을 파악한다.
이상의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교육 현실과 변화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 영어교육의 변화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한 어휘 연구의 방법인 코퍼스 언어학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기존 북한 영어교과서 연구들의 분석 내용과 결론을 살펴보고 본 연구의 차별성과 방향을 검토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참고로, 북한의 소학교 영어교수안을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지도서와 함께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북한 2013 개정 중등학교 영어교과서 코퍼스를 통시적, 공시적으로 어휘 규모, 고빈도 내용어, 핵심어, 어휘 구성 비율을 분석하여 결과를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2013 개정 이후 영어 교육과정은 언어의 기능을 균형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북한의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분석을 통해, 북한 당국에서 요구하고 있는 영어교육은 다양한 언어의 기능을 학습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다. 인민교육과 교원선전수첩의 영어교육 관련 기사에서 문법과 읽기 외에도 학습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는 동영상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제안하고, 학습자들의 듣기와 말하기에 초점을 둔 의사소통을 강조하고 있어 과거와는 다른 변화를 나타냈다.
둘째, 북한의 영어 교육과정에서는 과학・기술 인재를 육성하기 위하여 컴퓨터와 같은 과학 내용을 통합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북한 소학교 영어교육에서도 과학을 익히기 위한 도구로서의 성격을 드러내고 있었다. 북한 중등학교에서는 정보통신, 환경, 생물, 건강과 같은 과학 관련 어휘의 빈도가 과거보다 증가하였고, 우리나라보다 컴퓨터, 위성, 바이러스와 같은 어휘의 빈도가 높았다.
셋째, 북한은 영어 교육과정에서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영어 학습 내용의 반복과 구조적인 활동 구성으로 정확성을 강조하였다. 북한 소학교 영어교육 방법에서 정확성을 강조하여 따라 말하기, 정확하게 읽기, 모방하기, 따라 쓰기, 정확한 발음과 억양으로 말하기 등의 활동을 강조하였다. 북한 중등학교 어휘 분석에서도 우리나라 영어교과서 활동보다 정답을 찾는 수렴적인 활동이 더 많았다.
넷째, 북한은 영어교육 내용에서 지도자의 업적으로 연결하여 체제를 공고히 하는 교육을 여전히 실행하고 있다. 북한은 영어교육 내용에서 우수한 문화시설이나 과학기술을 소개하고 지도자의 업적임을 밝히며 칭송하는 당정책화를 실시하고 있었다. 즉, 과거 북한 개정 전의 영어교육 에서 나타났던 사상이념과 관련한 내용을 줄이고, 개정 후에는 영어교육 내용에서 제시된 자국의 우수함을 김정은의 성과로 우상화며 사상교육을 실행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북한 영어교육에 관한 후속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의 교육강령, 영어교과서, 교육잡지, 교육신문 등의 1차 자료를 충분히 활용하는 전반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북한의 영어교육 관련한 객관적인 방법의 연구와 함께 북한 이탈주민들과의 면담으로 북한 영어교육 실태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셋째, 통일을 대비하기 위한 우리와 북한의 영어과 통합 교육과정 개발 연구들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 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의 목적 4
1.3 논문의 구성 5
1.4 연구의 제한점 5
1.5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2.1 북한의 교육 현황 9
2.2 북한의 영어교육 현황 28
2.3 코퍼스 기반 언어 연구 57
2.4 선행연구 60
Ⅲ. 연구 방법 73
3.1 연구 대상 73
3.2 연구 기간 및 절차 79
3.3 연구 도구 83
3.4 자료 분석 및 처리 92
Ⅳ. 북한 영어교육 동향 분석 103
4.1 북한 교육 부문 정기간행물의 영어교육 기사 분석 103
4.2 북한 소학교 영어교수안 분석 118
4.3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 구성체제 분석 179
Ⅴ.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의 미시적 분석 192
5.1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의 통시적 분석 192
5.2 북한과 우리나라 중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의 공시적 분석 229
5.3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 어휘 분석 결과에 대한 논의 251
Ⅵ. 결론 및 제언 256
6.1 결론 256
6.2 제언 261
참고문헌 263
ABSTRACT 280
부록 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