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독재정권의 체제 이행 조건과 상이성에 관한 연구 : 북한, 동독, 이집트, 시리아 사례의 비교를 중심으로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이종철
학위 박사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전공 정치외교학과
발행연도 2018년
쪽수 185 p.
지도교수 이신화
키워드 #독재정권   #시리아   #이집트   #동독   #북한   #이행 상이성   #이행 조건   #혁명   #체제 이행
조회수 6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Although the transition of South Europe, South America and Asian countries to democratic regimes in the 1970s and 1980s, the collapse and transition of socialist regimes in the late 1980s and early 1990s, and the democratization revolution in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in 2010, Democracy is still underway. Despite the collapse of many dictatorships around the world, some countries have fallen into disorder rather than a pre-revolutionary period, others revert to dictatorship, and the others are continuing their democratic movements. In spite of the numerous experiences of democratization in history, the conditions and progress for democratization are not the sam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nditions and differences for which authoritarian regimes succeed in the transition of the system and which are not, through the comparative case studies.

The transition of a dictatorship proceeds in three ways : to remain, to be democratic or to be confused. The reason is that the variables of the ruling forces and resistance forces depending on their level and degree leads to different processes and outcomes. In other words, the level of the opposition, the degree of division of the elites, and its interaction determine not only whether the dictatorship is changing the system, but also whether it is moving smoothly toward democratization or into chao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ree hypotheses. H1 : If the level of the opposition is low and the level of division of the ruling forces is weak, the dictatorship remains stable. H2 : If the level of the opposition is high and the level of division of the ruling forces is large, the dictatorship will collapse and advance toward democratization. H3 : If the level of the opposition is high and the level of division of the ruling forces is weak, the dictatorship does not collapse and goes into chaos. The level of the opposition is measured by the resistance subject, the networking and mobilization of the resistance forces, and the armed level of theirs.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division of the elites is measured by the will of the ruler, disaffection or cohesion of the elites, and the mobilization of the physical controls such as military and police.

An authoritarian regime can maintain its survival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the resistance or the opposition in the bud through effective “control” of the individual dictatorship that complement the one-ruling party dictatorship. The autocracies also can survive when the level of division of the elites is weak and the capacity to mobilizing the military is full, even if the level of the opposition is high.

Keyword: Dictatorship Regime, Regime Transition, Revolution, Condition of Transition, Dissimilarity of Transition, North Korea, East Germany, Egypt, Syria
목차
"제1장 서론 1

제2장 이론과 분석틀 7

제1절 개념과 이론 7
1. 독재, 체제, 체제 이행의 개념 7
2. 독재체제 규정에 관한 이론 9
3. 독재체제 이행에 관한 이론 13
제2절 대안적 논의와 분석틀 23
1. 대안적 논의 23
2. 분석틀 26
제3절 지배와 저항의 동학 29

제3장 동독 35
제1절 동독 독재체제의 성격과 구조 35
제2절 저항세력 37
1. 저항의 주체 37
2. 저항세력의 네트워킹 및 대중 동원 38
제3절 지배세력 41
1. 지배자의 의지 41
2. 지배엘리트의 이반 및 이탈 42
3. 군 및 경찰 등 물리적 통제기구의 작동 실패 44
제4장 이집트 47
제1절 이집트 독재체제의 성격과 구조 47
제2절 저항세력 51
1. 저항의 주체 52
2. 저항세력의 네트워킹 및 대중 동원 54
제3절 지배세력 57
1. 지배자의 의지 57
2. 지배엘리트의 이반 및 군 동원 실패 58
3. 지배세력 분열의 원인 60
제5장 시리아 67
제1절 시리아 독재체제의 성격과 구조 67
제2절 저항세력 70
1. 저항의 주체 70
2. 저항세력의 네트워킹 및 대중 동원 73
3. 혁명 세력의 무장과 내전 74
제3절 지배세력 75
1. 지배자의 의지 76
2. 지배엘리트의 응집과 군의 동원 77
제6장 북한 81
제1절 북한 독재체제의 성격과 구조 81
제2절 저항세력 85
제3절 지배세력 91

제7장 북한 저항세력 미형성 조건 99
제1절 사상을 통한 지배 99
1. 주체사상 99
2. 혁명적 수령관과 후계자론 103
제2절 통제를 통한 지배 114
1. 조직 생활 114
2. 정보 통제 117
3. 물리적 통제 123
1) 정치범수용소와 공개처형 124
2) 국가안전보위성 129
3) 인민보안성 131
제3절 소결 134

제8장 북한, 동독, 이집트, 시리아 체제 이행 비교 137
제1절 사회주의 체제전환 비교 : 동독 vs 북한 137
제2절 중동 시민혁명 비교 : 이집트 vs 시리아 150

제9장 결론 156

참고문헌 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