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공감적 자연치유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주민의 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홍기하
학위 박사
소속학교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전공 사회문화교육학과(박사) 자연치유
발행연도 2020년
쪽수 107
지도교수 윤기선
키워드 #홍기하   #자연치유   #요법   #분노   #공감   #상처   #동정   #마음   #치유   #안녕감   #사회   #도 움   #소통   #존중   #대인관계   #탈북민   #이주민   #통일   #통합. 북한이탈주민
조회수 60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한민족이 둘로 나뉘어 살아온 지 75년이다. 다시 하나로 합쳐질거라는 사람도 있고 그렇게 됐으면 좋겠다는 사람도 있고 되겠냐는 사람도 있고 관심없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같은 의견을 가진 부류라고 해도 세부적으로는 각각의 생각이 차이가 있는 것은 분명하다.생각해보면 통일이 전부가 아니고 통합이 되어야 한다. 통합적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우리 주변에 이웃으로 거주하는 북한이주민을 빼 놓을 수 없다. 일각에서는 그들을 ‘먼저 온 통일’이라고 말한다. 역사가 우리에게 그들과 먼저 더불어 사는 연습을 하라고 기회를 부여했다는 것이다. 연구자의 생각에는‘먼저 온 통일’이라고 말하는 그들과 통합된 사회를 이루지 못한다면 이후에 올 어떤 식의 통일도 달가울 수 없다. 그래서 연구자는 그들과의 통합을 위한 연구를 하기로 하였다. 통합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마음이 통해야 소통이 일어나고 평화통일을 이룰 수 있겠다고 생각했고 소통을 위한 도구로 공감을 선택했다.본 연구에 사용된 공감은 자연지유(Naturotherapy)의 한 도구이다. 이 도구를 사용하여 북한체제 내에서 받은 정신적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탈북과정에서의 트라우마 그리고 남한 사회에서 살면서 받는 편견 소위 등의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외상으로 마음이 움츠러들어 사회적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북한이주민의 행동에 어떠한 변화가 생기는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연구자는 그들의 공감지수를 알아보고 공감의 하위요소로 분류되는 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그리고 사회기술적 공감 등은 그들의 행동에 어떤 변화를 일으키는 지와 그러한 행동으로 인해 그들의 자기존중감 주관적 안녕감 등에 대한 변화는 어떠한 지를 알아보고자 했다.이러한 연구를 위해 연구 모형을 만들고 가설을 설정하였고 가설을 검정하는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대상은 남한 사회에 거주한 기간이 3년 이상으로 서울 충청 전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북한이주민으로 한정하였다. 조사 기간은 2019년 3월부터 6월까지이며 직업군은 다양하게 설정하였고 소득수준도 차별을 두었다. 통일부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북한이주민의 72%로 여성이 많은 것을 고려하여 남녀의 수를 비슷한 수준으로 통제하였으며 의도적 표집방식으로 연구대상을 선정하여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병행하였다. 설문의 방법은 SNS를 통한 방법과 직접 대면하는 방식을 병행하였다. 수집된 응답을 IBM SPSS 26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95% 신뢰수준에서 표본의 적절성을 검증하는 정규성검정 질문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을 위한 척도분석 주성분을 기준으로 Varimax 방식으로 회전하여 요인분석을 하였고 변수의 상관관계 및 기술적 통계를 산출하였으며 t-검정과 회귀분석을 하였다. 응답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성별 연령 결혼 상태 직업 월 소득으로 한정하여 조사한 결과 성별은 여성(50.3%) 연령대는 40대(68.4%) 결혼 여부는 미혼(81.6%) 직업은 생산직(43.1%) 월 소득 평균은 200만 원 이하(42.5%) 거주지는 서울(45%)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공감을 받은 북한이주민은 친사회적행동과 도움행동을 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친사회적행동과 도움행동은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자기존중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공감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어 주관적 안녕감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감은 친사회적행동에도 영향을 주어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공감이 북한이주민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친사회적행동 도움행동 자기존중감 등은 중요한 매개가 되었다.
목차
논문개요 i 감사의 글·iii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목적 및 방법 1. 연구목적 2. 연구 방법 5제 2 절 연구의 범위와 한계 71. 연구의 범위 72. 연구의 한계 9제 3 절 연구의 의의와 선행연구 101. 연구의 의의 102. 선행연구 12제 2 장 자연치유와 공감 2제 1 절 자연치유(Naturopathy) 21. 자연치유의 개념 및 목적 21) 자연치유의 개념 22) 자연치유의 목적 242. 자연치유의 필요성과 범위 261) 자연치유의 필요성 262) 자연치유의 도구 29제 2 절 공감(Empathy) 351. 공감의 개념과 목적 351) 공감의 개념 352) 공감의 목적 372. 자연치유와 공감의 관계 391) 자연치유에서 공감의 역할 392) 공감에 의한 자연치유 4제 3 절 공감에 의한 기대효과 421. 자아 내적 기대효과 421) 마음치유 422) 자기존중감(Self-Esteem) 443) 주관적 안녕감(Subjective well-being) 452. 자아 외적 기대효과 461) 도움행동(Helping Behavior) 462) 친사회적행동(ProSocial Behavior) 47제 3 장 연구 설계 49제 1 절 연구모형과 연구가설 491. 연구모형 491) 연구대상의 특징 492) 연구의 모형 502. 연구가설 52제 2 절 연구설계 및 연구 방법 561. 연구설계 561) 표집 방법 562) 자료수집 572. 연구 방법 581) 측정 도구 582) 분석방법 60제 3 절 사전연구 및 자료 수집 61. 연구의 조작화 및 측정 변수 61) 조작적 정의 62) 측정 변수 632. 자료 수집 641) 통계청의 자료 652) 통일부의 자료 66제 4 장 연구결과 68제 1 절 연구의 분석 681. 요인분석 682. 기술통계 및 신뢰도 분석 70제 2 절 상관관계 분석 71. 실험대상자의 특성 71) 물리적 특성 72) 정신적 심리적 특성 72. 실증적인 분석 721) 상관관계 분석 722) 타당성 분석 (feasibility study) 73제 3 절 가설 검정 및 연구의 검정 731. 가설 검정 732. 연구 모형의 검정 82제 5 장 결론 84제 1 절 연구결과의 요약 84제 2 절 시사점 85제 3 절 향후 연구과제 889Abstract(영문요약) 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