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부터 2010년대까지의 북한 재정제도 중 예산수입제도 변화를 통시적으로 정리하고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데 있다. 사회주의 경제의 특성상 재정제도 특히 예산수입제도는 예산수입의 원천을 창조하는 기관·기업소를 규율하는 제도와 기관·기업소의 경영환경과 거시경제 여건 등의 제반 여건(제도적 환경)과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 따라서 예산수입제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해당 제도뿐만 아니라 기업관리 가격 금융 등 경제 전반에 규율하는 제도적 환경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1990년대 경제 위기를 겪으면서 북한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시스템은 와해되었다. 이에 종전의 국가예산수입제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자 예산수입이 크게 감소하였다. 북한은 예산수입을 증가시키기 위해 1994년 거래수입금 부과대상을 소비재에서 생산재까지로 확대하는 조치를 단행하였지만 결과적으로 실패하였다. 암시장의 활성화 징세인프라 미비 등 제도적으로 열악한 환경에서 당국은 기업소의 활동을 관리·통제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또한 기업소는 새로운 제도에 순응하기보다는 탈세나 횡령 등 불법행위를 통해서 사적 이익을 추구하여 국가로 유입되는 예산수입은 줄어들 수밖에 없었다.북한은 2002년 ‘7·1경제관리개선조치’(이하 7·1 조치)를 통해서 시장을 일부 수용하고 기업소의 자율성을 확대하는 등의 개혁적 조치를 취하였다. 동시에 피폐화된 경제를 정상화하는 동시에 예산수입을 증대시킴으로써 국가 재정기능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종전의 거래수입금과 국가기업이익금은 폐지하고 번수입(소득) 분배에 기초한 국가기업이득금을 도입하였는데 이를 통해서 계획 외 부문을 수용하는 한편 국가-기업소-종업원 3자 간 배분을 통해서 3자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고자 하였다. 이는 1990년대와 달리 기업소나 종업원이라는 경제주체의 행태 변화을 유도하기 위해서 인센티브를 고려했다는 점에서 상당히 진전된 변화라고 평가할 수 있다. 북한은 회계 제도 정비 등을 통해 징세인프라를 구축하고자 노력했지만 2000년대의 징세인프라는 여전히 원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탈세 등의 불법행위를 막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동시에 2000년대 중반 시장화를 억제하려는 정책적 움직임에 따라 기업소의 인센티브가 약화되었다. 이러한 변화들은 결국 국가예산수입 증대에 방해 요소로 작용하였다. 북한은 2010년대에 ‘우리식 경제관리방법’과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를 통해서 시장을 공식화하고 기업소의 자율성을 확대하였다. 과거 7·1 조치 등을 통한 학습효과가 반영된 종합적인 제도 개혁조치였다. 이러한 개혁조치는 예산수입제도에도 변화를 주었다011년에 ?국가예산수입법? 개정을 통해서 국가기업이득금을 폐지하고 거래수입금과 국가기업이익금 제도를 재도입하였다. 이후 기관·기업소의 운영방식에 변화를 주어 국가-기업소-종업원의 이해관계를 일치시켰다. 또한 기업소와 국가 간 정보 비대칭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를 시행하였고 기업소와 종업원이라는 경제주체가 변경된 제도에 순응하도록 행태 변화를 유도해냈다. 이러한 점에서 2010년대 예산수입제도 변화는 예산수입증대라는 정책 목표에 가까이 갔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summarize and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diachronic changes of the National Budget Revenue System among North Korean fiscal systems from the 1990s to the 2010s. Due to the nature of the socialist economy the fiscal system in particular the National Budget Revenue System is closely related to regulations ruling institutions and enterprise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ch as business environment and macroeconomic factors. Therefore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National Budget Revenue System this study comprehensively analyzed not only the system but also the regulations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that rule microeconomic management system for enterprises price policy and financial system. Due to economic crisis in 1990s the centralized planned economy system of North Korea had been disrupted. As a result as the previous National Budget Revenue System did not work normally the budget revenue decreased significantly. North Korea tried to increase national budget revenue by expanding the tax base of turnover revenue to capital goods as wells as consumer goods in 1994 but the result of the effort to increase revenue failed due to poor institutional environments such as the thriving black market and the lack of tax infrastructure which mad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harder to control and supervise the activities of enterprises. In addition enterprises did not comply with the new regulations and pursue private profits through illegal acts such as tax evasion and embezzlement thereby the budget revenue flowing into the country had to be reduced.In 2002 North Korea adopted the concept of market and expanded the autonomy of enterprises by implementing '7·1 Economic Management Improvement Measures(2002)' in order to recover the devastated economy and to restore the state's fiscal function by increasing budget revenue. First the government abolished the previous turnover tax and net-profit based income tax and introduce new type of income tax based on net-profit before deducting labor costs for the purpose of aligning the interests of state-enterprises-employees and embracing informal economy. This is evaluated to be a material development in that North Korea used incentive schemes to motivate the behaviors of economic entities such as enterprises or employees. However tax infrastructure was still insufficient to prevent illegal activities such as tax evasion although the government tried to have built and improved tax infrastructure by setting up the accounting system and other regulations. In addition incentive schemes for enterprises had been eroded by the policy change to suppress marketization in mid-2000s. These changes eventually hindered national budget revenue growth.In the 2010s North Korea has accepted and embraced the concept of market and has improved the autonomy of enterprises by introducing North Korean-Style Economic Management System and Socialist Enterprise Responsibility System. These were comprehensive system reform measures reflecting the learning effect from the 7.1 Measures which also change budget revenue system. In 2011 new type of income tax introduced in 2002 was abolished and turnover tax and net-profit based income tax were reintroduced by revising the 「National Budget Revenue Act」. Since then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to align state-enterprises-employees’s interests. In addition North Korea implemented effective and practical measures to alleviate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enterprises and the state and motivated to behavior changes of the economic entities such as enterprises and employees to comply with the changed system. In this regard the changes in the National Budget Revenue System in the 2010s are evaluated to have achieved the policy target to increase budget revenue.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