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 론 제1절 연구목적 1. 문제제기 2. 기존연구 검토 4제2절 연구방법 81. 구술을 통한 일상사 연구 8제3절 논문의 구성 13제2장 이론적 논의 15제1절 아래로부터의 역사 151. 미시사 162. 일상사 183. 구술사 22제2절 인민의 정의와 이해 24제3장 북한 시장화의 기원과 상인 3제1절 해방 - 시장과 상인들 3제2절 민주개혁 시기 6.25전쟁 시기 시장과 상인들 34제3절 전후 사회주의 협동화 시기 시장과 상인정책 43제4장 전 인민적 소유 이면의 시장형성 53제1절 협동화의 후유증-북한지도부의 일상 531. 남북한 비교와 소련원조에 대한 잘못된 인식 532. 협동화의 국가적 후유증 54제2절 1960~1970년대 인민이 되는 과정 621. '운동'의 연속과 인민일상의 피곤함 622. 인민의 의식주 일상 693. '낡은 사상 소멸' '소개민' '초상휘장' 74제3절 기억에서 기록으로 - 은밀한 교환과 거래들 831. 일상의 회색지대 - 자재절취 852. 재일교포들에게 배운 각종 장사방법 943. 성행하는 개인업자들 1054. 사회주의 법무생활지도위원회 12제4절 다양한 개인주의 양태 1221. 자류지(부업지) 확대와 평성시장의 기원 1222. 소련벌목공과 상인정신 1303.3제품과 지방기관 개인투기상업 장마당의 확산 139제5장 시장의 형성과 분화 장마당에서 시장으로 150제1절 고스플랜의 붕괴 151. 자재지도원 제도의 소멸 152. 전력난과 전등회수사업 순번정전제도 153제2절 북부지역의 식량문제 중국 상인들의 상업 활동 1571. 겉으로 드러나는 북쪽지역의 궁핍 1572. 통밀과 밀가루 안남미 - 곡물류의 암거래확산 1603. 중국 상인들과 전국에 확산된 장사열풍 163제3절 대기근 - 장마당을 넘어서 1721. 1987~1988년의 장마당 조정 - 쇠퇴와 발전의 기로에서 1722. 교원들 자류지 개간 군인들 1763. 무역업무 - 국가에서 기업에로 189제4절 대기근과 시장의 고도화 1941. 진실된 자력갱생 1942. 무너지는 경계들 무엇이라도 팔아라 2033. 자릿세가 가져온 시장 메커니즘 2074. 시장 활동에 나선 기업들 2105. 인민에서 상인으로 - 장마당이 종합시장이 되다 2166. 종합시장 제도화 이후 거래품목과 판매주체의 변화 220제6장 결 론 223[] 230ABSTRACT 244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