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修交)와 북한의 대응 연구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김지영
학위 박사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공 북한학과
발행연도 2021년
쪽수 240
지도교수 유호열
키워드 #김지영   #헝가리   #수교   #북한   #동유럽   #한국
조회수 5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이 연구는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 과정과 수교 후 이에 대한 북한의 대응을 살펴본 것이다. 한국의 공산권 외교관계 수립을 위한 노력은 박정희 정부로부터 시작하여 노태우 정부에서 완성되었다. 한국의 공산권 외교는 반공과 안보 중시의 외교노선으로 시작되어, 소련의 해체와 동유럽 국가들의 개방 정책에 힘입어 공산권 국가들과의 수교라는 역사적인 성취를 이루였다. 공산권과의 수교는 한국 외교가 여러 단계 도약한 성과라고 평가한다. 반면 북한은 국제사회주의가 균열을 보이는 상황을 위기로 인식하고, 오히려 독자적인 생존 방식을 추구하였다. 김일성의 외교적 대응방식, 김일성 사후 유훈 통치시기 김정일의 외교 대응방식이 그러하였다. 이러한 국제적 환경속에서 헝가리가리는 경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체제전환을 선택했고, 체제전환 이후 자국의 경제를 재건하는데 도움을 받을 상대로서 한국을 선택 하였다. 이것이 한국과 헝가리가 수교하게된 가장 중요한 이유이다. 이 시기 공격적인 북방외교 정책을 추진하던 노태우 정부는 헝가리의 이러한 필요를 잘 파악하고 있었고, 이에 따른 적극적인 외교정책을 시행하여 헝가리와의 수교를 이루어냈다. 이에 대하여 북한은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에 대해 거세게 반발하였지만, 결국 한국과 헝가리의 수교를 막지는 못하였다.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단계에 이르러 북한도 이를 수용하고, 상징적인 외교관계 격하, 즉 양국의 외교관계 수준을 대리대사급으로 격하하는 정도로 이를 받아들였다.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은 한국 외교사의 도약이며 이후 이어진 동유럽 및 소련, 중국과 외교관계 수립의 기폭제가 되었다는 점에서 한국 외교사의 한 획을 그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의의와 목적
제2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4
제2장 한국 대(對)공산권 외교의 시작과 전개 8
제1절 냉전시기 한국의 대(對)공산권외교 8
1. 반공과 안보 중시의 외교노선 8
2. 데탕트와 한국의 국가이익에 대한 인식전환 13
3. 냉전시기 대(對)공산권 외교의 시작과 전개 18
제2절 소련의 붕괴와 한국의 외교변화 26
1. 1980년대 한국의 외교변화 요인 26
2. 올림픽과 대(對)공산권 스포츠외교 30
제3장 국제사회주의 붕괴와 북한의 외교대응 34
제1절 북한외교의 기조와 특징 34
1. 북한외교의 기조와 목표 34
2. 탈냉전 시기 생존을 위한 북한의 외교정책 38
3. 신북방 삼각관계 형성을 위한 외교 41
(1) 북중 관계 복원 전략 43
(2) 북러 관계 복원 전략 46
제2절 국제사회주의 붕괴와 북한의 외교 변화 51
1. 국제사회주의의 균열과 북한의 인식 51
2. 김일성의 외교 대응 53
3. 유훈 통치기 김정일의 외교 대응 56
제4장 헝가리의 사회주의 진행과 모순의 축적 62
제1절 헝가리 공산혁명과 굴라시 공산주의의 변화과정 62
1. 헝가리의 공산화와 스탈린식 통치 62
2. 헝가리의 1956년 반소혁명 66
3. 1968년 신경제메카니즘(굴라시 코뮤니즘)의 전개 73
제2절 헝가리 체제전환의 국내적 요인 84
1. 경제 침체 84
2. 반체제운동 88
제3절 헝가리 체제전환의 국제적 요인 94
1. 미국의 대(對)동구권 정책변화 94
2. 소련의 대(對)동구권 정책변화와 서방의 동유럽 경제제제 97

제5장 한국헝가리의 수교와 북한의 대응 102
제1절 한국 북방외교의 전개 그리고 성과 102
1. 북방정책의 여러 결정요인들 102
2. 북방정책의 목적과 전개 107
3. 북방정책과 남북한 관계개선의 모색 115
제2절 헝가리 대(對)서방외교의 변화와 한국헝가리 수교 119
1. 한국과 외교관계 수립 배경 119
2. 외교 관계 수립을 위한 노력과 막후 교섭 120
제3절 한국헝가리 외교관계 수립에 대한 북한의 인식과 대응 124
1. 1985년 한국과 헝가리의 관계 수립 시도와 북한의 대응 124
2. 1986년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 노력과 북한의 대응 140
3. 1987년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 노력과 북한의 대응 155
4. 1988년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의 진전과 북한의 대응 167
5. 1989년 한국과 헝가리의 외교관계 수립과 북한의 대응 201
제6장 결론 223
참고문헌 227
Abstract 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