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1 1 연구의 목적 1 2 연구의 의의 4 제2절 연구의 전제와 범위 7 1 연구의 전제 7 2 연구의 범위 9 제2장 북한 특수경제지대법제와 경제개발구법제 11 제1절 특수경제지대의 역사와 규범체계 11 1 특수경제지대정책의 변화 11 (1) 특수경제지대정책의 시작 김일성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양재섭
학위 박사
소속학교 북한대학원대학교
전공 정치통일전공
발행연도 2017년
쪽수 172
지도교수 구갑우
키워드 #과학적 이데올로기   #“부르주아 유전학”   #미추린주의   #멘델   #미추린   #리센코   #바빌로프   #계응상   #김일성   #소련   #북한   #생물학 유전학
조회수 54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1930년대 소련의 생물학계는 당시 서구의 고전 유전학을 관념론적이고 형이상학적 “부르주아 유전학”으로 규정하고 이를 ‘멘델모건주의’로 호명하였다 트로핌 리센코 중심의 소비에트 유전학파는 “반동적” 멘델모건주의에 대응하여 변증법적 유물론에 입각한 ‘미추린주의’를 주조하고 리콜라이 바빌로프 등 고전 유전학자들을 숙청하였다 부르주아 과학과 프롤레타리아 과학의 대립 구도에서 미추린주의는 진정한 사회주의 생물학으로 인정을 받아 유일한 과학적 원리로 채택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과학적 이데올로기’ 미추린주의는 194050년대에 신생 사회주의 국가 북한에 그대로 수입되어 전파되었다 일본유학을 통하여 고전 유전학의 기초를 닦은 누에 유전학자 계응상은 월북하여 연구에 종사하던 중 일시적으로 사상 검열의 수난을 겪었다 그러나 미추린주의가 생물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북한의 상황에서 계응상은 멘델모건주의를 부정하는 선언을 하였고, 누에에 대한 육종학 및 육잠학 연구에 매진하였으며 또한 북한의 과학기술자 우대 정책과 과학 중시 사상에 힘입어 과학자, 과학기술계 지도자 그리고 정치인으로서 성공적인 삶을 영위하였다 상기 세 가지 요인을 바탕으로 북한은 ‘미추린주의’와 ‘계응상유전학’ 공존의 역사적 사례를 남겼다.

In the 19301950s, the biological community of the Soviet Union defined the western classical genetics as ideal and metaphysical “bourgeois genetics”, and they named their concept ‘MendelismMorganism’ Michurinism which was based on the dialectical materialism was coined to establish the scientific ideology against the reactionary “bourgeois genetics” by the Trofim Lysenko School They purged the “bourgeois geneticists” belonging to Nikolai Vavilov Research Group Michurinism was selected as the only one true socialistic biological principle in the structure of conflict between bourgeois science and proletarian science
In the 1940s1950s, the scientific ideology of this Michurinism was imported into a newlyborn socialist state of North Korea Dr Kye Ung Sang who studied the classical genetics of silk worm in Japan relocated to North Korea Although he once suffered for his scientific thoughts based on classical genetics, he eventually succeeded in both scientific and political life in North Korea He declared that MendelismMorganism was reactionary, and he sometimes expressed the loyalty to Kim IlSung, the Labor Party and the Government He also was eager to do research for improvement of a species of silkworm and activation of silk industry Furthermore the North Korean Government tended to give preferential treatment to scientists and technologists and also performed a sciencecentered policy Due to the three factors above, there was a coexistence between Michurinism and Kye Ung Sang genetics in North Korean history.
목차
"국문요약 vii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기존 연구의 검토 및 본 연구의 특징 6
1 기존 연구의 검토 6
2 과학적 이데올로기의 실용적 정의 10
가 이데올로기 개념의 개요 10
나 과학적 이데올로기의 실용적 정의 11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14
제2장 유전학의 탄생과 원예전문가 미추린 19
제1절 유전학의 아버지 멘델과 유전학의 시작 20
1 멘델의 유전법칙과 유전학의 확립 20
2 멘델 유전법칙의 과학사적 함의 23
3 미추린주의의 산파 멘델모건주의 27
제2절 과수원예의 선구자 미추린 31
1 품종 개량을 향한 원예전문가의 탐구 여정 31
2 10월 혁명의 수혜자 미추린 38
제3장 소련에서 고전 유전학과 미추린주의의 대결 43
제1절 유물론적 생물학의 주역이 된 미추린주의 44
1 프롤레타리아 과학의 정체 44
2 멘델모건주의를 넘어 미추린주의로 49
제2절 변증법적 유물론에 입각한 미추린주의 54
1 미추린주의는 유물론적 생물학의 기초 54
2 다윈주의를 활용한 미추린주의 59
제3절 유전학의 숙청과 과학적 이데올로기 64
1 미추린의 후계자 리센코의 등장 64
2 소련 국내의 고전 유전학자 바빌로프 67
3 두 개의 유전학 69
4 유전학의 숙청과 과학적 이데올로기의 확산 71
제4장 북한의 미추린주의 수입과 전파 79
제1절 미추린주의의 수입과 보급 79
1 선진 과학에 대한 열망과 사상 무장의 강조 79
2 미추린주의의 수입과 출판 보급 83
제2절 미추린주의와 조소친선 88
1 미추린주의적 교양과 조소친선 강화의 톱니바퀴 88
2 미추린주의 보급사업의 평가와 새로운 진전 93
제5장 북한에서 ‘미추린주의’와 ‘계응상유전학’의 공존 99
제1절 두 색깔의 사회를 살아낸 계응상의 생애 100
1 계응상의 출생과 국제적 유랑의 길 100
2 북한에 정착한 누에 유전학자 105
제2절 계응상에 대한 사상 검열과 김일성의 지원 109
1 계응상에 대한 사상 검열의 수난 109
2 계응상을 계속 후원한 김일성 112
3 생물학과 양잠업에 대한 김일성의 관심 114
제3절 미추린주의 확산과 계응상의 존재 118
1 미추린주의와 계응상유전학 공존의 징후 118
2 1950년대 미추린주의의 확산과 계응상 121
가 미추린 “서거” 15주년(1950)에 즈음하여 121
나 미추린 “탄생” 100주년(1955)에 즈음하여 124
다 미추린주의 관련 국제 교류 127
3 미추린주의와 계응상유전학의 공존 130
가 계응상의 멘델모건주의 공식 부정 130
나 계응상의 ‘육종학’ 및 ‘육잠학’적 연구 경향 133
다 과학기술자 우대 및 과학기술 중시 정책에 편승 138
4 미추린주의의 퇴조와 계응상의 타계 141
제6장 결론 145
참고문헌 151
ABSTRACT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