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별 성향에 따른 생활문화적응실태 연구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최백만
학위 박사
소속학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전공 사회복지상담학과 가족상담
발행연도 2015년
쪽수 218
지도교수 변 상 해
키워드 #북한이탈주민   #생활문화 적응성   #민족정체성   #가족건강성
조회수 4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북한은 1990년대 중반에 가뭄 등 자연재해로 인하여 식량 배급이 중단되는 이른 바 ‘고난의 행군’이 시작되었다. 상당수의 북한주민들은 경제적 위기에서 벗어나고자 북한을 이탈하여 중국과 제3국을 거쳐 한국으로 들어오기 시작하였으며, 그 수가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 5월말 현재 28,000여명으로 늘어났다.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초기 정착 및 생활안정을 위하여 통일부를 비롯한 정부기관에서는「북한이탈주민의 보호 및 정착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라 북한이탈주민의 정착 및 생활안정 지원,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보호와 관리, 다양한 프로그램과 취업교육 및 알선, 학업, 생활 및 의료 등을 비롯하여 실제적인 초기적응과 자립자활 지원을 해 왔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별 성향에 따른 생활문화 적응 실태를 분석하여, 남한사회에서의 생활문화 적응성과, 민족정체성, 가족건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북한이탈주민의 성공적인 남한정착과 생활안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2014년 실태조사에서 혼인상태 현황의 구성비(부부중심가족 48.4%, 한 부모가족 24.7%, 1인 가족 26.5%)를 적용하였다. 최종 연구 참여자 수는 부부중심가족 21명(50%), 한 부모가족 10명(24%), 1인 가족 11명(26%) 등 42명으로, 2014년 3월 1일부터 6월 1일까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질적 분석은 합의적 질적연구(CQR)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양적 분석은 SPSS 패키지를 활용한 카이제곱 검정(교차분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별 인구통계학적 현황에서 입국경로는 선행연구 및 통일부 내부자료와 일치하였다. 탈북동기의 경우, 본 연구의 결과는 ○○기관에서 실시한 ○○조사를 비교한 결과와 차이가 있었으나, 통일부 내부 자료 및 선행연구의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둘째, 북한이탈주민은 한국입국 후 힘들었던 점으로 차별과 무시를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꼽았다. 그 원인은 소양교육 및 전문분야의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북한에서 쌓인 경력이 인정받지 못하는 것도 그러한 인식을 초래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주민의 민족정체성은 남한주민과의 민족정체성이 일치하지 않았다. 즉, 북한이탈주민은 북한주민만을 한민족이라고 여기고 있으며, 남한주민은 한민족이 아닌 것으로 알고 있었다.

넷째, 북한이탈주민은 가족건강성에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는 신체기능의 저하로 인한 불편감, 불안감과 초조감, 우울감과 같이 탈북과정에서 경험하였지만 치유받지 못한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특히 ‘북송’에 대한 심리적‧정서적인 불안감이 매우 높았다.

본 논문은 북한이탈주민들의 가족체계별 성향에 따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들은 남한사회에서의 적응 및 자립 자활하는 과정에서 남한주민과는 달리 접근방법과 문제해결 방식의 차이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북한이탈주민들이 남한이라는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가치체계를 확립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논문은 남북분단으로 인하여 초래된 문화적‧민족적 정체성의 차이를 극복하고, 먼저 남한사회 내부에서 하나된 공동체 의식을 바탕으로 ‘작은 통일’을 이루고, 향후 ‘남북통일’을 이루었을 때 남북의 체제와 문화통합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연구결과라고 할 수 있다.
목차
"표 목차 ⅶ

그림 목차 ⅸ

국문 초록 Ⅹ

Ⅰ. 서 론 1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 범위 및 구성 7

3. 연구 의의와 문제 8

4. 용어 정의 9



Ⅱ. 이론적 배경 12

1. 한국의 역사 12

가. 개요 12

나. 고조선 창건 12

다. 삼국시대 13

라. 고려시대 15

마. 조선시대 15

바. 독립운동과 8‧15광복 및 남북분단 16

사. 6‧25전쟁 및 대한민국의 발전 17

2. 탈북원인과 현황 19

가. 탈북원인 19

나. 탈북현황 20

다. 탈북과정 24

3.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28

가. 북한이탈주민 명칭 변화 28

나.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체계 28

다. 북한이탈주민정착지원사무소 사회적응 교육 30

4. 북한이탈주민 거주지 보호 33

가. 취업지원 33

나. 정착장려금 34

다. 교육지원 및 학력‧자격인정 34

라. 사회보장 지원 35

마. 각종 보호담당관 운영제도 37

바.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39

사. 북한이탈주민 지역적응센터 41

5.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 43

가. 가족과 가정의 개념 43

나. 체계의 개념 46

다. 일반체계 이론과 가족체계 이론 46

라.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 52

마. 북한이탈주민의 탈북과정에서 가족의 변화 57

바.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 58

사.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별 성향 59

아. 남한입국 후 가족의 변화 60

6. 북한이탈주민의 생활문화 적응성 78

가. 생활문화의 개념 78

나. 생활문화 적응성의 개념 84

다. 북한이탈주민의 정착과 사회적응 86

7. 북한이탈주민의 민족정체성 90

가. 민족정체성의 개념 90

나. 민족정체성의 선행연구 91

8.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건강성 95

가. 가족건강성의 개념 95

나.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변화 99

다. 북한이탈주민 가족의 건강 105

라.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 107



Ⅲ. 연구방법 114

1. 합의적 질적연구(CQR) 114

가. 질적 연구방법 115

나. 질적 연구수행의 필요성 116

2. 조사방법 116

가. 연구 참여자 선정 116

나. 사용척도 및 분석방법 119

다. 자료수집 121

라. 자료 분석방법 및 절차 122

마. 개인정보 관리 124

바. 연구의 엄격성 124

3. 연구 참여자의 특성 125



Ⅳ. 연구결과 129

1.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별 일반현황 129

가. 입국경로 분석 129

나. 입국가족의 현황분석 131

다. 탈북동기 분석 133

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에서의 생활문화 적응 분석 134

가. 한국입국 후 힘들었던 점 135

나. 남한사회 생활의 어려웠던 점 137

다. 남한사회 생활에서 가장 힘들었던 점 139

라. 북한이탈주민의 취업현황 141

마. 취업 시 보수현황 144

바. 직업에 대한 만족도 현황 146

사. 북한이탈주민에게 시급한 점 147

아. 북한이탈주민에게 필요한 교육 149

자. 북한이탈주민에게 추천하고 싶은 교육 150

3. 북한이탈주민의 민족정체성 분석 152

가. 정치적 성향 152

나. 경제적 성향 154

다. 사회적 성향 156

라. 문화적 성향 158

마. 일반적 성향 160

바. 개인적 성향 162

사. 북한이탈주민의 장점 163

아. 북한이탈주민의 단점 165

4.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건강성 분석 167

가. 북한이탈주민의 건강상태 167

나. 가족구성원별 건강상태 168

다. 가족구성원 간 의사소통 현황 170

라. 가족구성원 간 어려운 점 171

마. 친척 간 교류의 정도 173

바. 가족들에게 바라는 점 174

사. 가족이 내게 바라는 점 175

아. 가족의 공통 희망사항 177



Ⅴ. 논의 179

1. 북한이탈주민의 가족체계별 현황 179

가. 탈북경로와 입국 시 동반가족과 관련된 논의 179

나. 탈북동기와 관련된 논의 180

2.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생활문화 적응 180

가. 한국 입국 후 힘들었던 점 180

나. 남한사회에서 생활하는데 어려웠던 점 182

다. 남한사회에서 생활하는데 가장 어려웠던 점 182

3. 북한이탈주민의 민족정체성 183

4. 북한이탈주민의 가족건강성 185



Ⅵ. 결론 187

1. 요약 187

2. 제언 189

3.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190



참고문헌 192

ABSTRACT 212

부록 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