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북한 서정가요의 주제와 음악분석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홍성규
학위 박사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공 응용언어문화학협동과정 문화콘텐츠학전공
발행연도 2015년
쪽수 698 p.
지도교수 유영대
키워드 #북한음악   #북한가요   #음악예술론   #서정가요   #주체 사실주의
조회수 68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본 연구는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와 더불어 음악적 요소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북한 서정가요가 지닌 문학적, 음악적 특징들을 고찰해보았다. 또한 북한가요가 지니고 있는 미학적 특징과 시대적 한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북한음악의 개념에 대하여 알아보고, 북한음악의 역사적 흐름에 대해서는 해방 전후 시기・한국전쟁과 건설 시기・주체사상 발전시기・공산주의 몰락과 고난의 행군 시기・선군음악정치 시기 등으로 구분하여 각 시기별 음악동향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북한음악의 사상적 배경을 파악하기 위하여 마르크스・레닌주의에 입각한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와 주체사상에 입각한 주체 사실주의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북한가요의 종류와 시대별 특징에 대한 고찰에서는 북한가요의 종류를 장르류에 따라 서정・서사・교술・희곡으로 나누고 그 대표 곡들에 대한 가사분석을 통하여 각 장르의 성격과 특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장르류의 하위 범주인 세부장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그것을 토대로 북한가요 분석에 적용할 세부장르들을 설정하였다.
북한가요의 시대별 특징에서는 해방을 기준으로 해방 이전의 북한가요와 해방 이후부터 1949년까지의 북한가요로 양분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이후의 시기는 10년 단위로 구분하여 1950년대・1960년대・1970년대・1980년대・1990년대 그리고 2000년대 이후로 나누어 분석해 봄으로써 각 해당 시기별 북한가요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 부분에서는 먼저 본 연구의 범위인 해방 이전부터 2011년까지의 4,219곡에 대해 서정・서사・교술・희곡의 4개의 장르류로 분류하고 그 각각을 세부장르로 분류하였으며, 개별 곡의 음악적 요소인 음계, 박자 등에 관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을 통한 데이터들은 시대 순에 따라 나열하여 그 분포를 살펴보고 시대별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방 이전 북한음악은 순수서정가요의 비율이 어느 시대 보다 가장 높았으며, 음계부분에서는 전통음악의 5음음계와 5음 간의 선율진행을 바탕으로 창작된 곡이 전체 220곡 중 155곡으로 70%에 해당한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2/4박자가 가장 많은 것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해방 이후 북한가요는 선전・선동가요가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노동가요・수령송가・당송가・통일가요 등이 처음 등장하였다. 이전 시대에 비해 순수서정가요의 수는 감소하였다. 음계부분을 살펴보면, 5음음계보다 서양음계인 7음음계의 비중이 커졌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가 23곡 중 11곡으로 47.8%를 차지하고 있으며, 해방 이전 북한가요에서 43.2%의 분포를 보인 2/4박자가 한 곡도 없다는 점은 이 시기의 특이점 중 하나이다. 또한 노동가요에서 변박자가 처음 등장했다.
1950년대 북한가요의 시대적 특징은 다른 장르에 비해 노동가요의 비중이 가장 크다는 점이다. 그리고 송가의 수가 서서히 증가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 시기에는 수령송가가 등장하지 않았으나 1956년 '8월 종파사건' 이후 수령송가가 다시 창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체철학과 공산주의 사상 교양 및 당 찬양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당송가, 선전・선동가요가 눈에 띄게 늘어났다. 또한 새로운 세부장르로 추모가가 등장했다. 음계는 이전 시대에 비해 장조계열과 단조계열의 격차가 대폭 감소했으며 5음음계의 비율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세부장르에서는 장음계와 단음계의 비율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다양한 변박자의 등장과 2/4박자의 재등장이 특징적이다.
1960년대 북한가요의 특징은 이전 시대에 비해 서정가요가 눈에 띄게 늘어난 점이다. 1950년대 6곡이었던 수령송가는 65곡으로 급격히 늘어났다. 이 시기의 송가와 선전・선동가요는 225곡으로 77.6%에 해당한다. 또한 민요의 현대화와 더불어 통속적인 음악을 강조한 시기이므로 전통적인 선율소재인 5음음계의 비중이 늘어났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모든 세부장르에서 4/4박자의 곡이 많았으며, 35%정도의 비율이었던 이전 시기에 비해 59%로 확대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970년대 북한가요의 가장 큰 특징은 전체 창작곡의 수가 이전 시대에 비해 3배 이상 늘었다는 점이다. 서정가요는 총 420곡으로 전체 곡 중 64.4%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점은 1973년 문화혁명이 반영된 결과로 판단된다. 세부장르에서 수령송가가 이전 시대의 비해 4배 이상으로 증가하였고, 당송가도 85곡으로 3배 정도 증가하였으며 선전・선동가요도 207곡으로 50%가량 증가되었다. 음계적인 특징은 단일음계의 곡에서 단조가 장조보다 비율이 높아진 첫 시기라는 점이다. 5음음계와 7음음계의 비교에서는 7음음계의 비중이 월등히 높았다.
1980년대 북한음악의 특징은 수령송가가 큰 폭으로 줄고 선전・선동가요와 당송가가 크게 상승했다는 점이다. 음계적 특징은 단조계열이 장조계열보다 큰 비중을 차지하게 되었으며 7음음계의 비중 역시 월등히 상승하였다. 박자 분포에 있어서는 4/4박자의 비중이 높았다.
1990년대의 북한가요를 살펴보면 김일성의 사후, 본격적인 김정일 시대에서의 정치・경제적 변화가 반영된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1980년대 말 동구권 공산주의의 몰락과 1990년대 초 소련의 붕괴 그리고 이른바 고난의 행군기를 거치면서 북한의 가요는 주민들에 대한 사상교양에 중점을 두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수령송가 392곡, 당송가 221곡, 선전・선동가요 376곡 등 창작물의 양적 증가로 나타났다. 이 중 수령송가가 전 시대에 비해 168곡에서 392곡으로 큰 폭의 상승을 나타냈다. 음계부분에서는 이전 시대에 비해 다시 장조계열의 음계가 많이 나타난다.
2000년대의 북한가요는 서정가요가 587곡으로 전체 곡 중에 93.9%를 차지하고 있다. 세부장르에서는 선전・선동가요가 크게 줄었는데 이는 1990년대 말 고난의 행군시기를 극복한 이후 풍속가요와 애정가요 등 서정가요의 비중이 상승한 결과로 추정된다. 음계는 장조계열이 많았고, 7음음계의 높은 비중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박자에서도 4/4박자의 높은 비율이 지속되었다.
그리고 북한의 서정가요를 주제에 따라,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가극 속의 서정가요・수령 찬양 서정가요의 5가지로 구분하고, 각 분류별 대표곡들의 분석을 통해 주제에 따른 내용과 표현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의 서술방식은 자연 속의 경치에 대한 세밀한 서술 이후 시적화자의 심상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었다.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에서의 묘사되는 경치는 매우 구체적으로 그려지며 시적화자의 감정이입으로 인해 또 다른 의미를 생산하게 된다. 고향산천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하거나 조국의 자연을 묘사하면서 우월성을 과시하기도 하며 애향심을 표현하기 위하여 고향의 강을 소재로 하기도 한다. 경치를 소재로 하기 때문에 고향과 관련된 내용이 많으며 이러한 시적화자의 고향에 대한 그리움은 해방과 통일 등에 대한 의지로 연결되기도 한다. 또한 북한의 서정가요이므로 지도자의 은혜를 칭송하는 내용이 포함되기도 한다.
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는 전통민요의 가사를 개사한 노래들로, 대부분 농사나 어업 등 그 소재에 있어서 노동요적 특징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북한의 가요인만큼 내용 중에는 당정책을 선전하거나 수령의 은덕을 찬양하는 표현이 존재한다.
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는 1990년 이후 많이 등장하게 되는데, 애정주제의 경우, 남녀의 애정사를 소재로 하고 있으나 사회주의적 전형으로서의 총각을 흠모하는 처녀 또는 처녀를 흠모하는 총각이 혁신자의 영예를 획득하여 처녀에게 인정받겠다고 하는 식의 내용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로는 전통적 소재를 가지고 노래한 곡들이 있는데, 전통적 소재에 대한 찬양은 곧 민족에 대한 자긍심으로 이어지게 된다.
가극 속의 서정가요는 가극 속의 각 장면들과 연관된 정서를 담고 있는 가사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는 《꽃파는 처녀》・《피바다》・민족가극 《춘향전》에서의 주요 곡들을 살펴보았다. 대부분 역경 속의 주인공에 관한 이야기이므로 전반적으로 흐르는 정서는 슬픔에 관한 것이 많다. 하나의 곡에 하나의 주제를 담아 표현해내는 일반적인 가요와는 다르게, 가극 속의 노래는 각 장면에 따른 등장인물들의 정서를 서술하고 있어 하나의 곡이 지니는 서정성은 보다 심화된다.
수령 찬양가요에서 표현되는 지도자의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신적이며 영웅적이다. 지도자는 태양으로 은유되어 온 세상을 밝혀주며, 민족을 위해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하는 영웅으로서 묘사될 때는 민족적 상징인 백두산이 동반되어 표현된다. 또한 수령 찬양가요 속의 지도자는 아버지로 호칭되어 유교적 효의 대상이며, 비참한 자신의 인생을 구해주거나 풍년을 가져다 준 은인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김정일 집권기 이후 형상화되는 지도자상은 그립고 정다운 연인이거나 어머니가 되기도 한다.
북한 서정가요에 대한 악곡 분석을 시행하기 위하여 북한의 가요 146곡을 선별하였고, 분석을 위한 다양한 항목을 설정하여 음악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의 항목은 악곡의 구조적 특징・선율적 특징・화성적 특징・전통리듬의 사용양상 등 4가지 항목이며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조적 특징으로는 북한가요의 절가적 특성으로 인해 두도막형식의 간단한 곡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점이며, 악곡의 구조가 복잡해질수록 창작곡의 빈도수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가요의 구조적 특징은 전렴과 후렴의 대구적인 절가형식이 대부분이라는 점이다.
둘째, 북한가요에서는 주선율의 음역대가 남한의 가요에 비해 협소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주민들이 이해하기 쉽고 부르기 편해야 한다는 노래의 통속성을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것은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원칙 중 하나인 '인민성'과 관련이 있으며, 가요를 감상용이 아닌 가창을 통한 사상교화의 목적으로 수단화했음을 나타내는 방증이기도 하다.
셋째, 선율적 특징으로는 선율의 소재 면에서 5음음계 위주의 사용이 많다는 점이다. 이는 민족적 형식을 강조하는 북한음악의 기본적인 원칙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에서 극적 대비를 보이는 가요들을 많이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후렴 부분의 가사에서 수령과 당의 언급 시 해당 단어에 대한 강조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설정으로 판단된다. 반대로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이 평이한 양상을 보여주는 모습도 볼 수 있는데, 감정의 나열이나 사실의 나열과 같은 가사의 내용과 관련된 음악적 고려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전렴과 후렴의 음역대가 유사하게 나타난다. 또한 주목할 만한 선율적 특이점은 최근의 북한가요에서 반음계적 수법의 선율진행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선율을 복잡하게 쓰지 않도록 하며 특별히 반음의 사용을 '날라리풍'이라 하여 금하고 있다.
넷째, 화성적 특징을 살펴보면, 북한가요는 기본적으로 가사와 선율이 음악의 중심이 되므로 화성에 대한 고려는 미약한 편이다. 또한 음악창작의 원칙상 화성의 다양성을 피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칙에서 벗어나 예외적인 화성소재나 화성진행이 적용된 특이한 사례들을 시대적 맥락과 함께 살펴보았다. 그 첫 번째로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이 시대의 흐름에 따라 증가한다는 점이다. 북한에서는 원칙적으로 재즈음악적 요소의 사용을 금기시 하였지만 1970년대 김정일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시기부터 스탠다드 재즈에서 자주 나타나는 5도권 화성진행의 사용빈도가 늘어난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특히 단조 곡에서의 5도권 화성진행이 두드러진다. 또한 부속7화음의 사용 빈도 역시, 시대가 바뀜에 따라 증가하고 있다. 1960년대에는 그 빈도수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는데 천리마운동 등에 따른 다수의 선전・선동가요가 보급된 것이 그 원인으로 추정된다. 교술적인 가사는 메시지 전달이 주목적이므로 음악적 다양성의 추구는 오히려 해가 되기 때문이다. 그 이후 부속7화음 소재의 빈도는 지속적으로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그 밖의 특수화음들의 사용은 매우 드물지만, 그러한 화성이 적용된 사례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화음의 자리바꿈 사용에 있어서 2000년대 이후 사용 빈도가 늘어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점은 시기적으로 김정일의 음악정치 그리고 김정은의 집권과 관련하여 음악소재가 확대되고 다양화되었음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리듬적인 측면에서는 서양리듬에 비해 전통리듬 소재의 사용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족적 형식을 우위에 두고 서구의 음악을 복종시켜야 한다고 역설하지만 사실상 음악의 창작에 있어서는 서구적 리듬소재를 많이 사용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서구의 리듬에 대한 분석이 아닌 전통리듬의 사용양상에 대해 분석해보았다. 이를 통해 전통리듬소재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그들 나름대로의 변용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북한의 전통리듬과 그 변용의 양상을 정리해보고 변형된 전통리듬이 가요에 적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북한가요에서의 서정성은 해방 이후 분단 상황 하에서 이데올로기적인 측면이 강조되는 경향을 나타냈고, 한국전쟁 이후부터는 서서히 정치적 수단화되는 양상을 보인다. 전후 복구와 건설을 독려하는 선전・선동적인 곡들이 등장함과 동시에 김일성 유일사상체제의 확립시기를 기점으로 북한서정가요는 대부분 정치적 성향으로 변모된다.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주의헌법'이나 '우리민족제일주의론' 등을 통해 예술작품에 사회주의적 내용을 담을 것을 명시하면서 북한 서정가요는 대부분 사회주의 체제유지와 선전을 위한 목적으로 창작 보급되게 된다. 음악적 요소에 관해서도 창작에 관한 당의 엄격한 통제와 검열에 따라 창작의 범위가 좁아지게 되어 북한음악은 지극히 제한된 상황 하에서의 흐름을 보여 왔다. 이러한 북한 서정가요의 한계는 곧 그들의 미학적 특징에서 기인한다고 판단하여 북한 서정가요의 미학적 특징과 한계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미학의 근간을 이루고 있는 인민성・당성・계급성과 주체문예이론에서의 종자론, 인민성과 통속성에 대해 살펴보고, 통일을 주제로 한 가요의 가사분석을 통해 통일지향의 방향성이라는 측면에서 그들이 지닌 한계를 규명해보았다.
목차
"I. 서론 1
1. 연구목적 1
2. 선행연구 검토 3
3. 연구범위와 연구방법 8
1) 연구범위 8
2) 연구방법 10

Ⅱ. 북한음악의 역사와 사상적 배경 15
1. 북한음악의 개념 15
1) 북한음악의 정의 15
2) 북한음악의 분류 25
2. 북한음악의 역사적 전개 33
1) 해방 전후 시기의 음악 34
2) 한국전쟁과 건설 시기의 음악 37
3) 주체사상 발전시기의 음악 44
4) 공산주의 몰락과 고난의 행군 시기의 음악 47
5) 선군음악정치 시기의 음악 49
3. 북한음악의 사상적 배경 50
1)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50
2) 주체사상과 주체문예이론 52

Ⅲ. 북한가요의 종류와 시대별 특징 58
1. 북한가요의 종류 58
1) 북한가요의 장르류에 따른 구분 58
2) 북한가요의 세부장르 69
2. 북한가요의 시대별 특징 73
1) 해방 이전의 북한가요 74
2) 해방 이후 1949년까지의 북한가요 81
3) 1950년대의 북한가요 87
4) 1960년대의 북한가요 95
5) 1970년대의 북한가요 101
6) 1980년대의 북한가요 108
7) 1990년대의 북한가요 113
8) 2000년대 이후의 북한가요 118

Ⅳ. 북한 서정가요의 가사 분석 127
1. 경치를 노래한 서정가요 127
2. 전통민요를 수용한 서정가요 136
3. 애정과 풍속을 노래한 서정가요 156
4. 가극 속의 서정가요 168
5. 수령 찬양 서정가요 184

V. 북한 서정가요의 악곡 분석 197
1. 악곡의 구조적 특징 197
1) 악곡의 구조 197
2) 조성적 특징 206
3) 협소한 음역 208
2. 선율적 특징 214
1) 5음음계의 사용 214
2) 전렴에서 후렴으로의 선율진행양상 220
3) 반음계적 선율의 사용 227
3. 화성적 원칙과 예외적 화성적용사례 237
1) 북한가요에서의 화성적 원칙 237
2) 북한가요의 예외적 화성적용 사례 239
4. 전통리듬의 사용양상 262
1) 전통리듬의 변용 262
2) 전통리듬의 사용양상 280

Ⅵ. 북한 서정가요의 미학적 특징과 한계 288
1. 북한 서정가요의 미학적 특징 289
2. 북한 서정가요의 한계 291
1) 종자론 291
2) 인민성과 통속성 294
3) 통일지향의 방향성 297

Ⅶ. 결론 300

참고문헌 307

부록 314

Abstract 6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