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北韓體制의 儒敎的 特性’에 대한 고찰이다. 연구를 통해 우리 민족을 십 수세기 이상 정치적문화적으로 지배해 온 유교사상이 사람들의 의식과 생활습관의 저변에서 아직까지 강력한 규범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확인했다. 특히 북한에서는 ‘변형된 유교’가 제도화의 수준에 이르고 있어 1990년대 이후의 북한체제를 넓은 범주에서 ‘유교사회주의’라고 칭해도 큰 무리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북한체제의 유교적 특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북한이 근본적인 체제변화 없이 장기간 존속하는 이유를 밝히는 동시에 우리 민족의 문화 속에 생동하는 유교의 이념에서 남북의 통일을 안내하는 덕목들을 찾고자 하는 염원을 담고 있다. 사실 유교나 북한의 통치이념 모두 사람을 중심에 놓고 논의를 전개하는 윤리체계라는 공통점이 있다. 또한 현대 倫理學의 양대 담론인 의무-규칙의 윤리이론과 德의 윤리 이론에 비춰보면 북한의 통치이념과 유교는 모두 덕 윤리의 특성이 강한 공통점이 있다. 따라서 북한체제의 유교적 특성을 윤리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은 타당성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교사상과 북한체제, 그리고 윤리학의 이론을 접목하여 북한이 수령을 성인(Saintly Ideal)으로 부각시키면서 간부 및 주민들에게 의무 초월적인 忠孝를 요구하고 있고, 이러한 논리를 후계논리에 그대로 접목하고 있으며, 인덕정치와 음악정치라는 구체적인 통치행태를 통해 구현하고 있는 실상을 논하였다. 또한 이러한 북한체제의 특성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仁義의 왜곡된 형태인 ‘동지애’의 억압적 구조 등 德 윤리의 부작용도 함께 드러내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먼저 Ⅰ장 머리말에 이어, Ⅱ장에서는 ‘북한의 유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북한의 유교사상 수용배경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유교의 聖人觀과 성인이 지향하는 이상사회론, 그리고 북한의 首領制와 강성국가론백두산대국론에 대한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유교의 宗法制와 忠孝사상이 북한의 권력세습 논리에 어떻게 접목되는지를 다루었다. Ⅴ장은 유교 통치이념의 근본인 民本사상과 그 구현 방식인 도덕정치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것이 북한이 주장하는 인덕정치인민대중제일주의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밝혔다. Ⅵ장은 유교의 禮樂사상과 북한의 음악정치와의 비교이다. 먼저 유교에서 禮와 樂의 기원과 그 經世的 기능을 정리하고, 유교 예악사상의 기능적 측면을 중심으로 북한의 음악정치와 김정은의 모란봉악단 활용실태를 살펴보았다. Ⅶ장은 본 연구의 맺음말로서 논문에서 다루어진 핵심내용들과 문제점들을 요약하고 추후 연구과제와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의 학문적 기여는 다섯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의 유교적 특성을 이론과 정치현실의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접근하였다. 북한 통치이념의 핵심인 수령론과 후계론을 유교의 성인관과 충효사상의 관점에서 논하였고, 통치현실에서는 인덕정치와 음악정치를 유교의 민본 및 德治사상과 예악론을 통해 고찰하였다.
둘째, 북한의 유교에 대한 인식의 추이를 보여주고 있다. 북한이 ‘유교와의 공존 모색 → 탄압말살 → 통치이념에 원용’하는 과정을 정치문화적 측면에서 밝혔다. 여기에는 북한 黨 기관지인 《로동신문》 전신의 명칭 《정로》가 『孟子』에서 유래함을 밝히는 등 새로운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셋째, 原始유교의 고전문헌들을 광범위하게 인용하여 사상적 연원을 적시함으로써 북한의 통치이념과 유교사상과의 유사성 및 차이점을 판별하였다.
넷째, 김정일의 권력승계과정에 숨겨진 진실을 밝혀냈다. 김일성 死後 김정일은 3年喪을 구실로 정치일정을 지연시키다가 국가주석에 취임하지 않는 방식으로 공식 권력승계를 마무리하고 이를 ‘아버지에 대한 孝’로 미화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국가수반으로서의 각종 의전행사에 부담을 느낀 김정일이 최종순간까지 고심하다가 극적인 상황을 연출하여 聲東擊西의 방식으로 상황을 마무리 한 것임을 논증하였다.
다섯째, 향후 북한에 대한 올바를 이해와 남북통일문제를 풀어가는데 있어서 북한체제가 抗日 빨치산의 활동에서 형성된 가족애를 정통성의 원천으로 한 ‘윤리적 공동체’라는 인식에 바탕을 두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기하였다.
This dissertation is a study on the Confucian characteristics in North Korean regime, focusing on how does Confucianism function in the Juche ideology and its political reality. Through this research, it became more assured that Confucian tradition has been at the heart of the lives of Korean people. Especially, Confucianism has been institutionalized in North Korea as a modified form since the early 1990s. In this regard, it is possible to name North Korean regime ‘Confucian socialism’ or ‘Confucialism’ for short.
This paper also has the purpose of giving an answer to the reasons why the regime did not collapse in spite of many difficult challenges. There are several factors to propping up the North Korean regime: sympathy of sharing a common destiny among high-level officials, normal activation of the security institutions, expansion of asymmetric forces including nuclear weapons, geostrategic advantages and effective foreign policies of the country, etc. This study, however, will discuss the Confucian factors that sustains North Korean regime.
In a sense, Confucianism and the Juche ideology are common in terms of the fact that both are human centered. As an essential thought of Confucianism, the spiri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tolerant to approve the existing ruling system. Therefore, it has propensities to maintain stability rather than to expedite change. This aspect of Confucianism is very attractive as a political ideology. Traditionally, filial piety to the parents is prior to loyalty to the king in Confucianism. In case of loyalty to the king, there are conditions and limitations for people to obey the ruler. But, filial piety to the parents is regarded as an unconditional, unlimited duty without exception. North Korea has made its regime ‘a socialist grand family’ and sublimed allegiance to the country’s leader into the same level of filial piety. Accordingly, it became a bounden duty for the people to remain faithful to the leadership.
This study approaches on the ethical point of view. Traditionally there has been two different stances in ethics: one is obligatory theory, and the other is virtue ethics. In this anonymous modern society, assertions which point out the limits of virtue ethics are predominate. In After virtue, Alasdair MacIntyre(1929 -) criticizes modern liberal society that brought the decline of virtue ethics. As an alternative, he suggests a small and transparent community which virtue ethics can flourish. In particular, MacIntyre claims that the elements of a rationally defensible morality could be found in Aristotle’s theory of virtue. In the case of the North Korean regime, however, society as a whole is highly onymous and strongly tinged with traditional system which virtue ethics can flourish. In other words, goals of individuals and those of the community are consistent in the regime. Therefore, it is reasonable to research the subject of this study on ethical point of view.
This thesis consists of seven parts. The first chapter is the introduction of the paper. The second section is on the trends of North Korean perspectives toward Confucianism. The third portion clarifies that the theory of NK’s Supreme ruler(首領論) is mainly based on the Confucian thoughts of saintly ideal(聖人觀). The fourth chapter deals with the aspects how the thought of loyalty and filial piety is being used in the process of the NK’s father-son hereditary succession. The fifth section argues on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people-oriented moral politics of Confucianism and Benevolence Politics(仁德政治) of NK. The sixth chapter discusses the Confucian thoughts of proprieties and music and NK’s Music Politics(音樂政治). The conclusion marks the end of this paper.
This paper contains five scholarly contributions. At first, it discusses comprehensively the Confucian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 from the viewpoint of governing ideology and political reality. Analytic diagram of the paper is as follows:
Secondly, it shows transitional process of North Korean policy toward Confucianism. At first, they attempted to make socialism and Confucianism coexist, then they tried to annihilate religion as a whole, at last they are accommodating Confucianism into the Juche ideology. Thirdly, various Confucian scriptures and literatures of before-Qin(先秦) Dynasty are extensively cited in the process of clarifying the Confucian attributes of North Korean regime. Fourthly, this study illuminates the truth of Kim Jong-il’s abandoning the president’s position in 1998. It is not that Kim Jong-il practiced his filial duties to Kim Il Sung but that he did not like to perform diplomatic activities due to his psychological traits. Lastly,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nderstanding the character that North Korean regime is constructing a kind of grand ethical community.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