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김정은 체제가 등장한 이후 관광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다. 북한 소식에 조금이라도 귀 기울이는 사람이라면 쉽게 느낄 수 있을 정도다. 북한은 ‘경제강국건설’과 ‘인민생활향상’을 위해 관광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북한에서의 관광업은 현실적으로 외국인 관광객 유치 분야를 의미한다는 점에서 ‘북한 외래관광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고 북한의 변화와 어떻게 관련되나’라는 질문을 던지게 된다.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외래관광 담당조직과 유치구조 및 유치전략을, 북한 외래관광이 태동한 이후 현재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1장에서는 본 논문의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분석틀을 설명하고 연구대상과 그 범위를 덧붙였다. 2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 담당조직이 어떻게 구축돼 왔는지 분석했다. 세부적으로 국가관광총국과 여행사 조직을 기본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각 조직의 형성을 기본으로 총국에서는 조직내부 측면에서, 여행사 분야에서는 여행사간 관계 측면에서 변화를 분석하였다. 특히 총국의 이중통제형태와 여행사의 과점경쟁체제에 초점을 두었다.
3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 유치구조를 일반관광과 변경관광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각각의 전개과정과 관광객 유치형태를 분석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고찰했다. 유치구조가 분절화 돼 있음에 따라 변경관광에서는 관광계획수립이나 관광수입 귀속 등에서 지방의 권한이 강한 특징을 보였다. 아울러 금강산관광이 남북관광에서 일반관광으로 ‘환원’됐다는 관점에 따라 외래관광측면에서 금강산특구관광을 설명했다.
4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 유치전략을 기본전략인 다원화전략과 세부전략인 관광마케팅전략으로 나누어 분석했다. 관광시장 확대와 국제관광무대와의 접촉면 확대를 의미하는 다원화전략에서는 시기별로 북한이 어떤 관광시장을 확대하려 했고 UNWTO와 어떤 협조관계를 맺어왔는지 주목했다. 관광마케팅전략 부분에서는 STP전략과 4P 개념을 활용, 관광마케팅 세부 흐름을 살펴보았다.
5장에서는 북한 외래관광을 평가하고 경제구조 등 북한체제와의 관계를 고찰해 외래관광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분석했다. 외래관광의 변화와 결과, 수준을 살펴보기 위해 경제적조직적 측면에서는 외래관광객 유치규모와 관광조직 발전단계를, 사회문화적 측면에서는 관광상품구성과 관광홍보방식을 평가수단으로 상정했다. 다음으로는 외래관광부문의 특징적인 운영방식을 살펴보고 이런 방식은 북한체제의 일반적인 운영원리를 반영하고 있음을 드러냈다. 외래관광부문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통해 외래관광이 북한 경제구조 등 체제변화를 선반영하는지 아니면 지체되어 반영하는지 여부를 보여주었다.
6장 결론에서는 종합차원에서 논의 내용을 정리하고 당초 제기한 세 가지 질문에 나름의 답을 제시했다. 아울러 김정은 정권 이후 외래관광부문 변화를 본 논문 연구 내용을 중심으로 요약하고 향후 변화 움직임을 전망하며 마무리하고 있다.
Since the Kim Jong-eun regime began, tourism in North Korea has been in spotlight. The regime seems to utilize tourism active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economy and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its people. Observing the country’s changes towards tourism, one may question how the North Korean inbound has been operated, how one can evaluate it. Also one could query if the country has been opened through tourism and if it can also be a tool to analyse the country’s structure.
It is not sufficient just to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country’s inbound tourism in order to answer those question. First of all, the flow of the inbound tourism needs to be understood which this study aims by investigating the related organizations and marketing structures and strategies since the inbound tourism began.
The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North Korean inbound tourism has been led by the National Tourism Administration and tour agencies and the country has been attracting inbound tourists with diversification and tourism marketing strategies while the structure is segmented into general tourism and border tourism.
Secondly, the study finds that the scale of the country’s inbound tourism is relatively small that the result cannot be evaluated highly. However, the country’s efforts can be esteemed highly for its various activities and tries against general assumption that inbound tourism is closed and inactive.
Thirdly, it observes that the change has been seen through inbound tourism although partially and the country is opening to outside still under the limit of the government which stands out even more after mid 2000. Fourth, the study finds that the country’s structure can be analyzed through tourism as it reflects the operating system of the economy management.
Lastly, the North Korea’s inbound tourism is experiencing another change and take off since the Kim Jong-eun regime which can be seen in the increasing number of inbound tourists, differentiation of the tourism structure and activation of tourism promotional mark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Koreas will also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country’s inbound tourism.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