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북한 정보 아카이브>
Today  0
Total  0

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위논문

지정학으로 본 러시아제국의 對한반도정책(1884-1904) : 팽창원인과 실패과정을 중심으로

상세내역
카테고리
저자 강정일
학위 박사
소속학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전공 정치외교학과
발행연도 2014년
쪽수 307 p.
지도교수 강성학
키워드 #한반도 정책   #러일전쟁   #지정학   #러시아
조회수 76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러시아제국의 對 반도 정책을 분석하기 위한 본 논문은 지정학적 관점에서 해양국가와 대륙국가의 대결 과정을 중심으로 러시아 대외정책의 팽창과정과 실패원인을 살펴보았다. 본 논문은 러시아가 한반도와 직접적 관계를 형성한 1884년 이후부터 한반도에서 영향력을 상실하게 된 러일전쟁 이전까지의 시기를 유럽과 중앙아시아, 그리고 극동의 상황을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다섯 가지 측면에서 러시아의 대 한반도정책을 분석할 수 있었다. 첫째, 러시아의 팽창정책은 안보환경의 변화에 따른 일련의 부산물이 아닌 러시아가 가지고 있는 지리적 공간과 특성에 기반을 둔 러시아인들의 역사적 유산에서 비롯된 것이다. 극동정책과 한반도 정책 또한 국경의 안정성과 해양으로의 진출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통해 제국을 이루고자 했던, 러시아의 팽창정책 속에서 이루어진 역사적 명령이라 하겠다. 둘째, 러시아의 대외정책은 범세계적인 해양국가와 대륙국가간의 충돌로서 설명될 수 있었다.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불가피한 충돌은 유럽과 중앙아시아, 그리고 한반도를 포함한 극동에서도 그대로 적용되었다. 유럽에서 해양국가들과 충돌이 일어 날 경우, 중앙아시아와 극동지역의 팽창정책은 유보되어 관망정책의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반대로 유럽이 안정화되면 러시아는 아시아로의 팽창주의정책을 추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러시아의 극동과 한반도 정책의 변화는 지정학적 수단인 철도 부설과 부동항 문제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러시아가 만주와 한반도 정책을 결정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한 요소는 부동항획득과 극동지역 철도부설의 안정성이었고, 당시의 공간에 대한 영향력이나 지배력 등의 개념을 설명할 수 있는 지정학적 수단을 통해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었다.
넷째, 러시아의 극동과 한반도 정책의 목표는 거점의 확보를 중시한 해양국가와는 달리극동지역에 대해 영토적 지배를 목적으로 한 나타난 것이었다. 이는 러시아의 지정학적 인식과 환경이 반영된 것으로 러시아제국의 대한반도 정책은 제국의 완성을 위한 팽창정책이었다고 할 수 있다. 러시아의 한반도 지배에 대한 의도는 청일전쟁이후 아관파천을 기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1900년 의화단 사건, 1903년 용암포 점령, 일본의 ‘만한교환론(滿韓交換論)’의 거부 등을 통해 명확해졌다. 러시아는 해양세력과 달리 영토의 팽창을 통해 극동지역의 영토를 보호하고 안정화시키려는 의지를 항상 가지고 있었다. 이를 완성하기 위해서는 해양진출을 위해 극동의 만주와 한반도의 점령이 필요했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은 실패한 정책이었다. 한반도의 지정학적 위치는 해양세력과 대륙세력이 충돌할 수밖에 없는 림랜드(rimland) 지역으로, 어느 한쪽도 양보할 수 없는 민감하고 중요한 요충지이다. 그러나 당시 러시아는 팽창정책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수단인 부동항이나 철도가 완벽히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태였고, 해양국가들 또한 러시아가 단독으로 한반도를 선점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해양국가들은 한반도와 만주를 빼앗기지 않기 위한 연합하여 러시아를 견제하였지만 러시아와 대륙국가간의 관계는 해양국가들의 외교적 조치로 와해된 상태였다. 러시아는 극동에서 고립될 수밖에 없었고 이는 러일전쟁의 패배로 이어졌다. 러시아가 한반도에서 실패한 또다른 이유는 한반도보다 만주지역을 우선시였기 때문이다. 만주점령이후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은 감소한 상태였으나 단독적으로 무리한 팽창정책을 추진하면서 일본과 해양국가들에게 봉쇄당한 것이다.
지정학 이론을 통해 19세기 당시의 극동과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제국의 정책을 살펴본 본 논문은 한반도를 위시한 열강들의 경쟁과 견제의 역사를 돌아봄으로써, 그 속에 숨어 있는 지정학적 세계관이 21세기 한반도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시대와 환경은 변해도 오랜 세월동안 지속되어 오고 있는 러시아의 지정학적 인식은 對한반도 정책의 기본적 틀로써 오늘날 우리에게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지정학적 관점으로 러시아와 극동, 그리고 그 안의 한반도 정책을 살펴 본 논문은 현재 러시아의 대한반도 정책을 가늠해 볼 수 있는 뜻 깊은 연구가 되리라 생각된다.

The Russian Empire's Korean Peninsula Policy with a Geopolitical Theory (1884-1904)
: With a Focus on Its Causes of Expansion and Process of Failure.

This thesis analyzes the Russian Empire’s policies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With a geopolitical perspective, it examines the forces driving the Russian Empire’s foreign policy as well as its expansion process with a focus on the conflict between the oceanic and continental states. The analysis begins from 1884, when the Russian Empire began to establish a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Korean peninsula, and ends prior to the Russo-Japanese War, after which the Russian Empire lost its influence over the Korean peninsula. Furthermore, it connects the differing situations in Europe, Central Asia, and the Far East over this period.
This research yielded five strands of results regarding the Korean peninsula policies of the Russian empire over this period.
Firstly, the expansion policy of Russia was not a by-product of the changes in its own national security concerns. Rather, it stems from the geographical position of Russia as well as the historical heritage of its people. In this respect, its policies regarding the Far East and the Korean peninsula may be understood as a part of a ‘historical command’ that dictated the expansion policy of Russia, more specifically building an empire through two distinct means, namely the stability of its borders and the advance toward the ocean.
Secondly, the foreign policy of the Russian Empire may be rationalized through the pan-global conflict between the oceanic and continental states. This unavoidable conflict applied to all fronts, including Europe, Central Asia, and the Far East. When a conflict with an oceanic state occurred in Europe, expansion policies in Central Asia and the Far East were delayed in favor of status quo. In contrast, when the situations in Europe stabilized, expansion policies were adopted on the Asian front.
Thirdly, changes in the Far East and the Korean peninsula policies of the Russian Empire could be explained through two major geopolitical issues, namely the railway construction and the access to ice-free ports. The most important policy consideration for the Russian Empire over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gaining access to the ice-free port as well as maintaining stability of the railway construction process in the Far East. Through the geopolitical means that capture the strengths of influence and control over a given space at the time, this thesis accounts for the changes in the Russian Empire’s Korean peninsula policy.
Fourthly, the aims of the Russian Empire’s Far East and Korean peninsula policy differed from that of the oceanic states. Whereas the latter focused on securing a strategic base, the former aimed to exert territorial control over the Far East. This reflects the geopolitical understanding and environment of the Russian Empire. In fact, its Korean peninsula policy may be understood as a piece of puzzle that would have completed its Imperial expansionary aims. Russia’s intentions to rule the Korean peninsula emerg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particularly after the Korean royal refuge at the Russian legation from 1896 to 1897. It became even clearer after the Boxer Rebellion in 1900, capture of Yongam-po in 1903, and the breakdown of pre-Russo-Japanese-war negotiations based on the exchange between Manchuria and Korea. In contrast to the oceanic powers, Russia always maintained the intention of protecting and stabilizing its Far East through territorial expansion. In order to achieve this, occupation of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was a necessary prerequisite.
Finally, the Korean peninsula policy of the Russian empire was a failure. The geopolitical pos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a rimland prone to conflict between oceanic and continental powers, which neither was willing to give up. However, Russia lacked the means to support its expansion policy, such as the access to warm water port and the railway transportation. The oceanic states did not wish to allow Russia to take control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the oceanic states aligned with each other to keep Russia in check from occupying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the diplomatic relations of the Russian peninsula with the continental states were broken due to the efforts of the oceanic states. This led to the Russian empire’s isolation in the Korean peninsula, which led to its defeat at the Russo-Japanese war. Furthermore, its Korean peninsula policy was bound to fail as it consciously chose to make Manchuria its priority. After its takeover of Manchuria, its influence over the Korean peninsula dwindled. Its overambitious expansion policy in the Korean peninsula was thus blocked by Japan and the oceanic powers.
To summarize, this thesis explored the Far East and Korean peninsula policies of the Russian Empire through geopolitical theories. Through a careful reflection of the history of checks and competition among major powers, this thesis also aimed to bring out the geopolitical world view relevant for the Korean peninsula in the 21st century. Though the times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have changed, this geopolitical perception of Russia still forms the basis of its policy toward Korea. In this respect, it is hoped that the geopolitical views and analysis of this thesis will serve as a valuable reflection on the current Russian policies concerning Korea.
목차
"제 1 장 서 론 1
제 1 절 연구 목적 및 문제제기 1
제 2 절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방법 5
제 3 절 연구범위 및 논문의 구성 12

제 2 장 이론적 논의 16
제 1 절 지정학 이론의 의미와 유용성 16
제 2 절 해양국가와 대륙국가의 특징 37
제 3 절 해양국가와 대륙국가의 지정학 49

제 3 장 세계적 차원의 지정학적 대결 74
제 1 절 유럽에서의 충돌과 크리미아에서의 고착 74
제 2 절 새로운 돌파구 중앙아시아로의 팽창 89
제 3 절 림랜드, 극동으로의 진출과 팽창의 한계 96

제 4 장 청일전쟁 이전 러시아의 관망정책(1860-1894) 125
제 1 절 한반도 진출의 장애물과 ‘기다리는 정책’ 125
제 2 절 영국의 거문도 점령과 부동항의 필요성 141
제 3 절 팽창을 위한 초석, 시베리아 횡단철도의 부설 159
제 5 장 청일전쟁으로 인한 구조변화와 영향력 확대(1894-1896) 173
제 1 절 극동에 위치한 대륙국가와 해양국가의 대결 173
제 2 절 대륙국가 연합을 통한 해양세력 견제 : 삼국간섭 194
제 3 절 한반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205

제 6 장 림랜드 진출과 해양국가의 저지(1896-1904) 222
제 1 절 러시아의 팽창정책 전환과 극동의 위기 222
제 2 절 만주점령의 기회, 의화단 사건과 한반도 240
제 3 절 해양국가 연합과 러시아의 고립: 영일동맹 250

제 7 장 결론 및 함의 268
제 1 절 분석 및 주장 268
제 2 절 연구의 함의 273

참 고 문 헌 279
ABSTRACT 303"